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지점 중 하나가 어차피 게임회사도 기업이고 이윤을 추구하기에 돈 잘내는 상위 유저들을 위한 운영을 하게 되면 큰 문제는 없다 라는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야 썩은 물들이 누구보다 더 썩길 원해 자발적인 노예짓을 하는 리니지 시리즈가 있으나, 그 게임 IP역시 관련 신규작을 내면 신규 유저를 유치하기 위한 행보를 보인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다수의 신규 유입 후 무한경쟁에서 살아남는 썩은 물들이 과금 시스템으로 게임사를 유지시키고, 그 썩을 물을 유지 시키는건 없는 것 같은 피라미드 구조의 하위들로 떠받치는 구조가 작금의 리니지 시스템의 알파이자 오메가 일 것이다. 

허나 이런 것은 NC라는 게임회사 특유의 집착적으로 보일 정도의 재화가치 보존으로 인한 썩은물들의 현금러쉬에 가까운 얘기고, 이와 같은 성공사례는 NC를 제외하면 아직까지는 성공한 회사가 없다시피하다. 그 넥슨 역시 이러한 재력규모의 썩은물을 절대적으로 유지할 수 가 없기에 방학 기간의 급식 러쉬를 지속적으로 일으키고 있는 것이고. 

로아의 역사는 이제 고작 1년여에 불과하고, 초반의 흥행 돌풍을 지켜내지도, 그렇다고 재화가치보존을 NC만큼 해내지도 못한다. 대부분 RPG는 NC의 사례를 따라갈래야 따라갈수가 없긴하다. 리니지 같은 형태의 RPG는 NC만이 가능하다가 더 정확한 분석일 것이다. 

로스트아크는 그래서 작년 매출이 잘나왔냐? 이번에 공개된 매출규모가 그래서 중요한 것이다. 고인물식 RPG로 방향을 선회한 결과, 신규 유입이 떨어져도 잘지르는 상위 고인물만 있다면 큰 문제가 없다는 명제는 공개된 매출규모로 봤을땐 외려 NC식 운영으로 로아가 돈벌길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로 해석하는게 더 정확할 것이다. 

모든 RPG는 썩은물로의 수렴과정을 유도하고 있긴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 유저의 유입이 없는한 매출 증대를 크게 늘릴수 없다는 점은 여러 RPG들의 운영 행보와 매출 규모를 보게 되면 잘드러난다. 

스마게는 절대 NC처럼 썩은물들에게 믿음을 줄수도 없고, 로스트아크는 리니지 시리즈처럼 재화가치절대보존의 길을 걷기는 힘든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아니 세계 게임사에서도 특이한 케이스 정도가 아닌 유일한 케이스인 NC의 리니지를들고 썩은물만 잘 꼬이게 하면 RPG게임은 문제가 없다라고 말하는 것은 후안무치에 가까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