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점핑 직후부터 쓸 수 있는 레이드 스킬트리와 더불어 특성작을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창술사는 기본적으로 '퓨어 딜러'군에 속합니다. 다수의 절단 스킬이 존재하지만 스킬
매커니즘과 낮은 무력화수치로 보아 그 정도 포지션이 적당해 보였구요, 또한 치명타
디버프 스킬까지 보유하고 있으니 데헌,아르카나와 동일 포지션이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점핑 직후 스포인 270 기준
선풍참혼4-2
맹룡열파10-312
회선창10-112
질풍참4-2
청룡진10-311
사두룡격10-312
굉열파10-211
적룡포7-33
300기준 적룡포10약점포착, 나선창4창끝공격, 일섬각4탁기 추가

창술사는 난무, 집중 2가지 스텐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난무 스텐스에는 다단히트 트포들과 듀얼 게이지 회복 트포들이 다수 있으며 이는 집중
스텐스 전환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집중 스텐스는 기본 백어택 시너지와 다수의 치명타 트포, 약점특효 피해증폭 시너지로
폭딜을 우겨넣을 수 있는 스텐스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위로 미루어 보았을때 극딜을 위한 이상적인 매커니즘은
'난무 빠른 게이지 회복 -> 집중 폭딜' 의 반복입니다

난무의 콤보는 딱히 없습니다. 버프의 유지시간도 길 뿐더러 찍어준 스킬들만 제대로
맞춘다면 유연하게 돌아갈 것입니다. 대신 가장 중요한 건

청룡진을 맨 마지막에 집어 넣습니다.

 창술사에게 있어서 청룡진은 유일무이한 치명타버프입니다. 이스킬을 쓰고 집중 스텐으로 넘어가 딜을 넣는것과 아닌것의 차이는 확연히 다릅니다.

청룡진으로 게이지를 마무리하고 집중 스텐으로 넘어가시면 올 치명이 뜨는 괴랄한 경우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2트포 집중공략을 찍는 EU)

집중스텐은 고정콤보가 있습니다. 레이드시에 확실한 딜타임이나 무력화때 넣으시면
가장 이상적인 딜사이클입니다.

청룡진->(멸룡열파)-> 집중스텐 변경 -> 나선창->사두룡격->굉열파->나선선창(청룡진off)
->적룡포->유성강천

*수정: 다른 치명딜러와 같이 갔을시엔 청룡진은 난무스텐스 콤보에 넣습니다.

이렇게 넣으시면 3버프가 끝남과 동시에 풀 게이지로 다시 난무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세한 콤보 방법은 영상 보시면 도움이 될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설명드릴게 특성작입니다.(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순위는 당연히 치명.
딜러로서 2순위로 특화냐 신속이냐 갈릴텐데
특화의 효과로는
-타격시 듀얼게이지 회복량 증가
-난무 버프효과 증가
-집중 버프효과 증가
-각성 스킬딜 증가
신속 공,이속 증가 쿨감다운으로 동일

가장 눈여겨 봐야할건 듀얼게이지 회복량.
딜사이클을 계속 돌려본 결과 특화 수치가 최소 200은 넘어야 게이지가 유연하게
돌아갔습니다.

 이 부분은 딜사이클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집중 스텐에서는 애초에 데미지가 강력해
게이지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지 않지만 청룡진의 치명효과를 집중스텐에 발라주다보니
난무의 게이지가 청룡진을 먼저쓰는 딜사이클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모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드에서는 말뚝하는 환경이 잘 나오지 않으며(어레기 제외)
난무의 버프효과가 두배정도 길다는것을 미뤄 보았을 때
난무 스텐스 = 여유로운 포지션 처리, 누적딜, 유연한 게이지 회복
집중 스텐스 = 확실한 폭딜
둘의 성격이 확연히 차이나기 때문에 청룡진은 집중변경 전에 박는게 여러모로 좋습니다.

이야기가 잠깐 샜는데 결론적으로 딜사이클을 유연하게 돌리고 싶다면 특화수치 200은
넘기시고 신속을 찍을건지 특화 올빵할건지 정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
이었습니다.

더 연구해 새로 나오는 정보들은 수정하겠습니다.
 
 X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