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 문제는 기본 램 오버가 문제였습니다.
 삼성 ddr5 16G 5600클럭을 기본으로 사용 중이었는데, 바이오스 설정에서 램오버 클럭을 4800으로 내리니 카던, 가디언, 레이드 전부 원활하게 돌아갔습니다.

 다른 분들도 제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해서 제가 해봤던 것들을 정리 해봤습니다.

개요 
 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삭제 및 재설치
 Ⅱ. 그래픽카드 하드웨어 자체 문제
 Ⅲ. 램 접촉불량, 레일 불량
 Ⅳ. 그래픽카드, CPU 온도 문제
 Ⅴ. 오버클럭 설정 문제

 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삭제 및 재설치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처음에 3dp chip에서 깔았었는데 이게 문제인가 싶었습니다. 그래서 엔비디아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받아서 새로 설치했습니다.
 글카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할 때 제어판에서 지우면 완벽하게 안 지워진다고 하길래 인터넷 찾아보니 DDU라는 프로그램으로 지우라고 하더라구요. DDU 사용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쉽게 설명해줬으니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지우고 나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했습니다. 꼭 엔비디아 홈페이지에서 다운하시길 바래요. 아래 링크 첨부합니다.


제품유형이랑 제품시리즈 같은 경우는 작업관리자 성능 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윈도우 11 기준 작업관리자. 윈도우 10에서도 성능 탭에 들어가시면 확인 가능해요.)

 그리고 드라이버 다운로드 받으실 때 [Geforce experience]이 프로그램도 같이 설치할 건지 물어보는데 이게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하니까 이건 체크 제외하시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글카 드라이버 3줄 요약
 2. NVIDIA 드라이버 설치 공식 드라이버 | NVIDIA
 3. [Geforce experience]는 제외하고 설치하기

 Ⅱ. 그래픽카드 하드웨어 자체 문제

 드라이버를 재설치 했음에도 로아가 튕기는 건 여전했습니다. 그래서 그래픽카드 자체의 문제인지 의심스러웠습니다. 기존에 갖고있던 그래픽카드는 이미 형한테 넘겨준 뒤라서, 그냥 그래픽카드를 제거한 뒤 CPU 내장 그래픽을 이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최하옵으로 겨우겨우 돌아가던 로스트아크가 데칼에 들어가자마자 튕기더군요;; 근데 이건 성능 문제일 수도 있어서 다른 게임으로도 진행을 해봤습니다. 제가 자주 했던 게임인 엔터 더 건전을 켜서 플레이 하는 도중에도 아무런 전조증세 없이 갑자기 게임이 다운되더라구요. 그래서 이건 그래픽카드 문제가 아니었구나 싶었습니다.
 여러분들도 가능하시다면 그래픽카드를 제거하고 다른 게임을 돌려보면서 테스트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분 그래픽카드가 없으시더라도 요즘 CPU는 대부분 내장 그래픽이 있기 때문에 그걸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글카 문제 의심 3줄 요약

 1. 그래픽카드가 고장났나 의심
 2. 내장그래픽으로 교체 후 테스트 -> 똑같은 증상
 3. 여러분도 가능하시다면 테스트 권장

 Ⅲ. 램 접촉불량, 레일 불량

 컴퓨터를 뜯어냈으니 이렇게 된거 그냥 되는건 다 해보자라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램 접촉불량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이전에 쓰던 컴퓨터도 제가 군에서 휴가를 나올 때마다 램부분에 먼지가 쌓여 접촉불량으로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애초에 램 자체 문제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저는 삼성 DDR5 16G 5600을 2장 사용중이었는데 우선 기존에 있던 램들을 뺐다가 원래 자리에도 꽃아보고 다른 레일에도 껴보고 두 램을 서로의 자리에 껴보기도 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실패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구매한지 2주도 안 된 컴퓨터기 때문에, 레일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헀습니다.(아니라고 믿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봤지만, 컴퓨터를 오래 쓰시거나 청소를 자주 안 하시는 분들은 혹여나 램 문제일 수도 있기 때문에 한 번씩 청소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램 문제 의심 3줄 요약

 1. 램 접촉불량 or 고장 의심
 2. 램 분리 후 재조립, 램을 장착한 레일 변경 -> 실패
 3. 컴퓨터를 오래 쓰신 분들은 컴퓨터를 청소해보시거나 램 밑의 노란 부분을 청소하시길 추천

 Ⅳ. 그래픽카드, CPU 온도 문제

 그래서 이젠 컴퓨터 부품들의 온도가 문제인가 싶었습니다. 그래서 HW모니터라는 프로그램으로 로아 실행 중에 부품 온도가 몇이나 나오는지 실험 해봤습니다. HW모니터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고 사용하는 법을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확인해보니 CPU 온도는 60~70도 사이, 그래픽카드는 65~75언저리를 유지했습니다. 딱히 문제가 될 정도의 온도는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제 그래픽카드가 제로팬 기능이 있어서 일정 온도가 되지 않으면 팬이 돌지 않았습니다. 그것 때문에 너무 빠르게 뜨거워져서 문제가 생기나 싶어 MSI 애프터 버너를 이용해 그래픽카드 팬 속도를 조정했습니다. msi 에프터 버너 사용법은 아래 링크에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팬 속도 조절을 한 뒤 다시 HW모니터로 부품 온도를 확인하며 친구와 칼엘을 잡아봤습니다. 기존에 1300RPM이던 팬 속도를 2100RPM정도로 강제로 끌어올리니 부품 온도는 73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 이거 해결 된건가? 싶은 찰나 첫 판이 끝나고 두번째 판에 다시 들어가보니 똑같이 튕겨버렸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실패였지만 혹시나 HW모니터로 확인했을 때, CPU나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너무 높다 하시는 분들은 서멀구리스 확인이나 팬 점검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예 저처럼 프로그램을 이용해 팬속을 올려서 테스트 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한다면 팬 수명이 빠르게 줄어들기 때문에 부품별 제조사에 as를 맡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부품 온도 문제 3줄 요약

 2. 너무 높은 경우 cpu팬 서멀구리스 확인 또는 그래픽카드 팬속 조절 그래픽카드 팬 속도 조절하기 (msi after burner) (tistory.com)
 3. 부품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 될 정도로 높은 온도라면 as 신청 (각 부품 제조사에)

 Ⅴ. 램 오버클럭 설정 문제

 사실 여기까지 했을 땐 이미 반 포기상태였습니다. 3일동안 레이드에서 엄청 튕기고 가디언도 엄청 튕기면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as나 맡겨야겠다 싶은 생각에 근처 컴퓨터 대리점 기사님께 연락을 드렸습니다.
 그러자 컴퓨터 기사님이 제 증상을 들으시곤 컴퓨터 부품들을 물어보신 뒤, 자신도 로스트아크를 자주 플레이 하는데 램오버가 문제인 것 같다 말하셨습니다. 삼성 DDR5 16G 5600은 기본 클럭이 5600으로 잡혀있는데 이걸 로스트아크나 윈도우에서 버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창에 들어가 램 오버를 5000이나 4800정도로 낮추고 플레이해보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반신반의하며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 램오버를 4800으로 낮췄습니다. 그러고 나서 이젠 모르겠다는 심정으로 발탄, 비아, 쿠크세이튼으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서 램 오버클럭을 바꾸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각 메인보드 제조사 별로 설정하는 방법이 다르니 자기 제조사에 맞춰서 설정해보시길 바랍니다.

 바이오스 설정창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제조사별로 다르니 검색하셔서 해보시면 됩니다!

 
 저희들은 램 오버클럭을 높이는게 주가 아닌 낮추는게 목표기 때문에 첫번째 설정에서 값을 올리시지 말고 값을 내리기만 한 뒤에 바이오스 설정 저장 및 재부팅을 하시면 됩니다. 다른 건 건드리시지 마시구 램 오버만 낮추셔야 합니다!!
 
 램 오버클럭 3줄 요약
 1. DDR5 5600램을 사용중일 경우 기본 클럭을 프로그램이 못 버팀
 2. 바이오스 설정에서 램 오버 낮추기(5200 ~ 4800정도)
 3. 드디어 대 성 공!!

  정말 우연찮게 집 주변 기사님도 로스트아크를 플레이 하셨고 해결책을 알려주셔서 해결했습니다. 진짜 정말 기뻤습니다. 속으로 로스트아크를 접어야하나 생각하기도 했는데 정말 너무 행복했습니다. 여려분들도 꼭 문제 해결하시고 즐겁게 로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서행님들 질문이 있어 찾아왔어요 | 로아 인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