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롤드컵을 정점으로 2018 LCK의 현 주소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홈 어드벤티지에서도 도합 1승4패로 맥을 못추고 있다.


물론 이후에 반등하여 조별리그를 뚫을 수도 있지만,


명확한 것은 LCK는 최강의 자리에서 내려왔으며, 세계무대에서의 경쟁력을 계속해서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제 밤 젠지와 RNG경기까지 보며 느낀 중국점과의 큰 차이는 '자신감' 이다.


심리적 위축 이런 이야기를 하려는게 아니고 자신감이라는게 엄청난 복합적 의미가 담겨져있다.




LCK는 롤을 거의 가위바위보라고만 생각한다.


각 챔피언의 티어와 챔피언간의 상성을 딱 정해놓고,


상성이 밀리면 밀리는 만큼 그선에서 받아먹고, 상성이 앞서면 앞선만큼의 선에서 밀어넣는다.


정글이 주변에 있거나, 텔, 합류가능 여부 등 외부적 요인에서만 근거를 찾고 싸움을 연다.


그래서 라인에서 솔로킬 등이 났을 경우를 프로들은 이를 '사고'라고 부른다.


'피지컬이 밀려서'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리고 경기를 졌을 때, 이겼을 때 꼭 하는 말이있다.


'우리의 실수를 줄이는 것에 집중하겠다.' , '실수가 많이 나왔다.'


상성이 밀리는 픽을 잡으면 cs받아먹고 소극적으로 플레이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그 생각은 외부요인개입 없이는 상대챔프를 절대 이길 수 없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이런 말을 하는 배경에는 이런 생각이 깔려 있다.


'롤 프로씬(LCK)에서의 선수쯤 되면 피지컬은 다들 거기서 거기다(거의 정점이다)'


'피지컬은 더이상 발전의 여지가 별로 없다'


'프로사이의 피지컬 차이로는 프로게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기 어렵다'


피지컬이 별 차이 없으니, 챔피언 상성에 따라 결과가 나올 뿐이고 상성이 이기는 쪽을 중심으로 이득을


조금씩 굴려가다가 한타로 넘어가며 한타는 변수가 훨씬 더 많긴하지만 한타도 피지컬보다는 텔 유무, 점멸유무, 시야유무, 오브젝트 유무


같은 외부요인에서의 근거찾기 싸움이 주를 이룬다.




운영을 정교하게 가다듬는 것은 좋지만


피지컬의 변수를 등한시하는 마인드는 LCK 선수들을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피지컬적인 실력을 더 늘릴 수 있고, 피지컬로 상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생각. 이 생각이 없어져버린 LCK는 멈춰버렸다.


이걸 여실히 느꼈던 것이 유투브에서 포스트시즌 끝나고 뱅이 리뷰를 한 영상에서


프로씬에서 원딜이 텔을 드는 이유를 설명할 때였다.


프로경기에서 원딜이 힐을 들어본들, 아무런 이득을 볼 상황이 없기 때문에라고 말했다.


만약 텔을 듦으로써 초반에도 수월한 라인관리를 통해 얻는 이득이 힐을 듦으로 얻는 이득보다 더 낫기 때문에


라고 말했다면 고였다까지는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원딜이 힐을 들어서 이득볼 상황이 아예 없다고 말한 것을 풀어서 해석하면


프로씬에서 각을 잡고 전투를 열거나 다이브를 하거나 한 경우에는 이미 계산이 다 되어 있기 때문에 힐을 통해서 변수를 만들 수 없다. 즉 프로들의 교전은 컴퓨터처럼 모든 계산이 되어 있다. 모든 변수를 계산을 한다.는 말이다.

그 계산이라는것이 완벽하다는 것을 전제를 깔고 있으며 힐 하나로 만들수 있는 한타나 라인전에서의 한끗차이는 정도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비슷한 예시로 피넛이 스크에서 뛰던 당시 바론을 스틸했음에도 그 플레이를 미친건줄 알았다는 김정균.



LCK는 운영에서의 이득을 내는것은 매우 중요시하면서 피지컬로 이득을 내는것은 '실수' '사고'라 치부하며

등한시한다.




이번 시즌 그리핀이 잘 나갔던 것의 이유도 이와 연관지어 반대급부에서 분석해볼 수 있다.


그리핀의 모토는 운영을 정교하게 가다듬어 실수를 줄이자가 아니다.


씨맥감독이 말하는 것은 롤을 가장 잘하는 사람이 되자 이다.


5명이 하나가 되는 피지컬을 강조하며, 시야싸움에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롤 = 운영 + 피지컬> 에서 피지컬을 중요성을 더 강조하는 팀이었다.





롤은 가위바위보가 아니다.


가위바위보적인 요소들이 있지만 + 실력도 똑같이 중요한 게임이다.


내 피지컬로 상성을 뒤집을 수 있다는 생각. 상대가 플래쉬가 있지만 그래도 잡을 수 있다는 생각.


<상성과 외부요인을 자기 손(피지컬)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마인드. 바로 이 자신감이 있어야한다.>


내가 가위를 들고 있다고 바위한테 무조건 진다는 생각을 버려야한다.


안정적으로 하고 확률을 높이는 것은 좋지만 '자신감'이 깔려 있지 않은 플레이는 먹이감이 되고 뻔해질 수 밖에 없다.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예측가능한 정교함은 맞받아칠 수가 있다.>




어제 RNG과 젠지의 경기를 보자.


전체적으로 미드타워를 중심으로 한 운영이 돋보이는 경기였다.


탑을 말리는 운영을 보여준 RNG와 이후에 미드를 끝까지 지키며 카밀을 이용한 스플릿 운영을 보여준 젠지.


정말 최상위권의 치열한 경기였다.


이런 정교한 운영, 정말 좋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결과를 낸것은 자기자신의 피지컬을 믿은 렛미의 이니시였다.


과연 한국팀이었다면 상대원딜이 점멸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원딜에게 타워를 끼고 게임을 끝내버릴 정도의 이니시를 시도할 수 있었을까?


일반적으로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룰러는 겪어보지 못한 상대의 이니시에 당황해서 점멸도 영리하게 사용하지 못했다.


그것뿐 아니라 RNG는 라인전에서부터 라이즈와 시비르로도 라인전부터 정말 자신감 넘치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최상위권 중국팀, 해외팀은 코치진의 노력으로 운영의 정교함도 LCK 급으로 갖추었다.


그팀들과 한국팀의 차이는 바로 저 마인드 유무에서 나오는 것이다.


우지와 루키, 카사, 소드아트 등의 플레이를 보면 알 수 있다.




과거에도 LCK는 저 마인드를 바탕으로 세계를 휘어잡은 것을 기억해야 한다.


롤에 관해서 분석하는 글을 쓰고 의견을 나누고 싶은데, 매니아 칼럼 게시판이 많이 축소된거같아 어디에다가 글을 쓰면 좋을지 추천좀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