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반말

기본개념은 레어검 분석편에 적었으니 안 봤으면 보고와라


1. 레어도끼 개요
레어도끼의 경우 대체로 레어검보다 성능이 괜찮게 나온 편이다. 근데 고뇌를 넘을 수 있을까?
풀스와 극증을 그냥 한 이미지에 모두 담았다. 눈 아프면 사진 클릭해서 봐라


2. 토마호크

평가 : 레어검들과 비교하면 준 최상급에 속하는 성능이지만 
다른 도끼들과 비교할 경우 평균 미만의 무기가 된다.


3. 스몰크레센트

평가 : 꽤 준수하다. 적당히 느린 공속에 좋은 기본 데미지로 풀스로로 풀옵션시 고뇌를 초과한다.
측정하면서 다시 보게 된 무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풀옵션 자체는 허상이라는 것.


4. 에틴액스

평가 : 레어도끼 중 최고의 베이스


5. 워스파이크

평가 : 빠른 공속 탓에 기본 데미지가 낮아 다른 도끼들에 비해 밀린다. 싼 맛에 먹는 불량음식같은 느낌.


6. 버서커액스

평가 : 엔젤을 끼기에 적당한 공속으로 엔젤효과를 받아 극증류 한정 도끼베이스 중 최고이며
풀스옵션도 모든 레어검을 상회하는 베이스다. 단 스몰크레센트와 에틴보다는 근소하게 아래.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7. 정리
레어검과 비교하면 레어검류가 마이너리그, 레어도끼류가 메이저리그 같은 느낌이 든다.
도끼류 중 진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스몰크레센트와 에틴액스는 
공속(10)으로 인해 80공속이 필요한데, 
이 때문에 엔젤셋을 쓸 수 없어 모든 무기에 대군주/칠흑/스탯링을 착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로 인해 극증로로에 한 해서 엔젤셋을 쓸 수 있는 다른도끼류에 비해서 상승폭이 낮다.

따라서 아래 그래프를 보면 극증로로에서만 스몰크레센트와 에틴액스가 흐름이 근소하게 쳐지는게 확인이 된다.



8. 해석
디아블로 무기류 시스템은 제작자들이 밸런스를 맞춘답시고 
낮은공속과 높은뎀지/중간공속에 중간뎀지/빠른공속에 낮은 뎀쥐로 설정해놓았으며,

광신을 킨 질딘전의 최상급템(40무기, 20장갑, 20대군주)급에서는
기본공속 10인 무기류가 딱 맞게 4프레임 공속을 맞출 수 있다.

그보다 빠른 무기들은 최대공속 제한으로 인해 
빠른 공속 옵션의 장점을 거의살리지 못하는데, 
낮은 데미지는 그대로 안고 가야해서 기본공속 10인 무기류 들에 대체적으로 밀리게 된다.
최대 공속이 3프레임이었으면 결과가 뒤집어 졌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모든 무기류 중에서 질딘전 시스템상 최대수혜를 받는 무기류는 기본공속 '10'인 무기로 보인다.
(최상급 템이라고 가정) 


9. 적어라
유일하게 기본공속이 '20'인 레전드리 말렛의 경우, 
질딘 유저들이 유난히 ?호평하는 무기 중에 하나이며 본 측정자가 한 번도 측정하지 않은 느린무기이다.

113공속을 맞추는 템세팅이 쉽지 않으며, 말렛을 쓰는 질딘전 영상도 은근히 찾기도
힘들고, 템세팅도 천차만별에 공속도 맞추지 않고 참가하는 플레이어도 있었다.

그래서 레전드리 말렛세팅은 무기의 성능을 측정하기 전,
그보다 먼저,

레전드리 말렛의 최고성능을 뽑아낼 수 있는 방어구/악세 세팅을 찾는게 우선 사항으로 보인다.

기본템세팅 : 레어다뎀/장대막이/불사조/크랩장갑/미스릴/고어/대군주/칠흑/스탯링
이것을 기본으로 측정 예정인 템세팅은 아래와 같다.

1. 공속작 무기(55) + 베르작 안다뚜(20) + 장갑(20) + 대군주(20) = 115

2. 샤엘작 무기(60) + 공속작투구(15) 장갑(20) + 대군주(20) = 115

3. 공속작 무기(55) + 2공속작유닉코로나(30) 장갑(20) + 대군주(20) = 125

4. 무기(40) + 장갑(20) + 엔젤셋 = 60 (5/5/5/5/9 질)

5. 무기(40) + 장갑(20) + 대군주(20) = 80(5/5/5/5/8 질) 

6. 공속작 무기(55) + 레어다뎀(30) + 인내 + 폭풍막이(15) + 대군주(20) = 120

7. 공속작 무기(55) + 레어다뎀(30) + 장갑(20) + 대군주(20) = 125 (45뎀감 패널티)

8. 공속작무기(55) + 레어다뎀(15) + 장갑(20) + 노에테장대막이(15) + 대군주(20) = 125

이것외에 성능 좋다고 생각하는 말렛세팅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놔라. 나중에 말렛을 연구하게 된다면 같이 측정해보겠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