넴 긔여운 sp1이에요

다리 난간 뒤에도 숨을수 있는 긔요미에욤




외형에 꽂혀서 어머 이건 사야돼!
하고 구입한뒤 위장까지 바르고 첫큐를 돌려보니

느려요

막 그냥 느리고 연약해염

그래도 참고 몰다보니 대강 감이 와서 적습니다.
물론 아직 4판밖에 안몰아봐서 다른 의견이 있을수 있습니다.


1. 세팅



승무원은 전차장 육감만 달아놓고 타고 있습니다.
(도길 승무원이 없다...ㅂㄷㅂㄷ)

특이하게도 클립주포+장전기가 달립니다.
대신 안정기가 안달리죠
다른분들은 어떻게 세팅을 하셨을런지 모르겠지만
일단 제 세팅은 이렇습니다

코팅 장전 환풍

환풍기 대신 낄만한 이큅으론 조준기가 있습니다만
전우애가 없는 상태에서 환풍기를 빼버리면 445미터 밑으로 시야가 떨어지기에 
일단 최대시야를 맞춰둔거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또한 최종 주포가 두종류인데
3발 클립 주포와
단발 주포로 나눌수 있습니다.
둘 다 90미리에 동일한 관통력 동일한 데미지입니다만,
단발주포의 명중이 0.36으로
클립주포보다 0.02 더 좋습니다.
클립주포보다 단발주포의 장탄수가 1발 더 많기도 하구요
(아직 1발남았다)

일단 저는 클립 주포를 달고 운용중인데,
그 이유가 단발 주포를 달자니 장전시간이 6초대라 완벽한 ru-251 하위호환이 되버려서
대체 왜 클립이 3발에 탄간 3초라는 애매한 스펙인가? 가 궁금하기도 하고 일단 순간 화력이 훌륭해서
클립 주포를 써봤습니다.

+추가
일반 단발포를 사용하실경우
스톡포도 한번 생각해보셔야 될 것 같네요
관통력에 차이점이 없고 조준시간이 소폭 늘어나고
명중이 0.38로 떨어지지만 연사력이 약간 올라갑니다
2번째포와 비교해보면 장전시간 6.67->6.5x 로 0.1초 감소됩니다.
별차이 없지만 굳이 단발포를 쓰실 생각이 없다면 연구후 꼭 구매할 필요가 없어보이네요.


2. 타 전차와 비교



다음 티어인 루251과 옆동네 깡패 불독의 카달로그 스펙과 비교해 봅시다.

위장률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차체는 몹시 작으나 키가 커서 위장률이 좀 후달리지 않을까 걱정을 했지만 최소한 불독보단 좋습니다.
디피엠의 경우도 불독에 비해 그다지 밀리지 않는군요

다만 클립당 탄수가 3발이며 탄간역시 3초라는게 좀 걸리죠
2.5초만 되도 좀 더 여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할 듯 싶으나, 안되는건 안되는거니 넘어갑시다.
클립 재장전시간은 카달로그 스펙으로 20초지만 일단 장전기가 달립니다.
덕분에 100%승무원+장전기+환풍기로 18초대를 찍어줍니다.

하지만 최대 단점이 바로 추중비
차체도 작고 무게도 얼마 안나가는 주제에(9.8톤이에요 9.8톤!) 추중비까지 중형급(레오 20.6, 30비 19.86, 바샷 28.2)
이다 보니 최속까지 올라가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최속 리미트마저 58키로입니다. 지형적응도 평균수준...

그래서 몰아보면 느껴지는 첫 소감이
-----느---------려-----------어-------어어어...

더군다나 다른 경전들 몰다보면 가끔 만나는 만렙나무 있죠?
얜 그냥 부딛히는 모든 나무가 만렙나무고 앞을 막는 자동차는 장갑차인 수준입니다.
나무 밟고 넘어가다 차 뒤집어지는거 아닌가 생각이 종종 들정도로 힘들어해요.

따라서 여타 다른 경전보다 반박자 빠르게 빠져줘야 됩니다.
내리막 타고 도망갈거 아니면 도망갈 타이밍을 좀 더 이르게 잡아주시는게 좋아요
물논, 아군이 밀고 들어갈때 전선 합류 시간도 반박자 빠르게...


3. 평가

그렇다고 좋은점이 없는것도 아닙니다.
일단 위장률이 뛰어나고 기본 시야가 400입니다.
포인트 선점이 힘들어서 그렇지 일단 도착만 하면 훌륭한 시야 공급원입니다.

둘째로 펀치력도 약한편이 아닙니다.
7티 경전 주제에 은탄 180 골관 240의 관통력은 아주 훌륭하죠.
또한 탄간 간격이 길다 해도 평균 700뎀의 한 클립을 6초 안에 털고 빠질수 있습니다.
이 700뎀이란게 참 오묘 한게
한티어 낮은 6티어 경전들은 한클립으로 삭제가 가능하고
8티어 중형의 경우 2.x 클립으로 처리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클립 장전시간이 18초대라 6초안에 탄을 털고 숨어서 스팟이 꺼지길 기다렸다가 (9-10초)
다시 나가서 조준을 하고 다음 클립을 털때까지 딜로스가 거의 없다시피 하죠 (4-5초 가량)
때문에 특정상황에 아주 강력해질 수 있는 전차라 느껴지네요

 1) 나보다 낮은 티어를 상대 할 때 (+ 경전차를 제외한 8티어 탱크들)
 2) 엄폐물을 끼고 옆구리에 짤짤이를 할 때
 3) 중거리 교전 시
 4) 체력이 어느정도 소모된 적이 자신에게 달려 들때

포인트는 클립 장전시간과 자신에게 몰릴 어그로 등등을 종합해봤을때
7티어 전차들 중 가장 안전하게 딜로스없이 스팟을 끄고 클립을 털기 좋은 전차라 생각됩니다.

다만 덮어놓고 저격하기엔 적합하지 않습니다.
형인 루리오일이 그렇듯 암걸릴것 같은 철갑탄 탄속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성작탄도 철갑탄에 버금가게 느립니다.
더구나 안정기도 없고 명중률도 0.38
이걸로 저격하면 욕먹죠

또한 10티어(특히 중형)를 상대하기엔 너무나도 힘에 부칩니다.
나보다 빠르고 연사좋고 체력많고 무거운 녀석들이 축구공 갖고 놀 듯 툭툭 치면 화면이 까매집니다.
또 150밀 맞으면 한방에 차고로 갈수도 있....
10탑에선 정말 정말 자중하고 스팟플레이에 집중합시다.



그렇다면 어떻게 운용할까.

제가 이 탱크를 100판 200판 타본게 아니라 확답을 드릴 순 없습니다.
유니컴 슈니컴급 통찰력도 없으며 그냥 작고 귀여운 탱크의 궤도가 돌아가면 깔깔거리는 비루한 실력이라
대강 이렇게 몰면 될 것 같다
수준의 가이드니 그냥 그렇구나 하고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무리한 플레이는 삼가합니다.
최대한 부쉬를 이용하고 적이 다가오면 도망다닙니다.
저지력이 강력한 편이나 내 체력역시 고자라 남들은 맞고 갠찮아! 할 공격도
한발 한발 뼈맞은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모든 경전이 그렇듯 자신만의 스팟 포인트, 딜 포인트를 숙지하고 언제 다음 포인트로 빠질지 항상 유념하셔야 됩니다.
다만 다른 경전을 몰때보다 반박자 이상은 빠르게 빠지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어설프게 천천히 빠졌다간 추노 당해서 충각사 합니다.
최대한 수비적으로 플레이 합시다.

다만 빠지기로 마음 먹었으면 과감하게 클립을 털어냅니다. 부각도 훌륭한 편이니 지형과 자그마한 차체를 활용해서
철저히 중거리 교전을 유도한뒤 스팟당했다면 은/엄폐를 확실히 합시다. 
첫클립을 비워내고 나에게 다가오던 적이 돈좌 되었다면 상황을 봐가며 추가 교전을 벌이고
아몰랑! ㅁ똒ㅁ613%@%^!%@ㅆ^ㅃ!#^!#% 하면서 계속 달려온다면 우리도 아몰랑! 하고 뒤도 안돌아보고 내뺍시다.

다만!
달려오고 있는 적 체력이 1400 이하이며 8티어급으로 혼자서 달려오고 있다면 과감히 교전하셔도 좋습니다.
오면서 -700 도착해서 -700 해주시면 됩니다.
대신 탄간이 3초니 한발 한발 여유있게 박아줍시다
한발이라도 빗나가면 타격이 엄청나니까요.

클립 장전시간 18초가 엄청 길어보이지만 사실 둔덕이나 건물을 끼고 있다면 200-150 미터 떨어진곳에서 곧장 달려오는 적이 있더라도 시간을 충분히 벌 수 있으니까 남은 내 체력과 상대 장갑을 유념해 판단하도록 합시다.

수비시 펀치력에 대해 짧게나마 동영상을 첨부합니다.



결론은

(모든 경전은 그렇지만 특히 더)
SP.1C는 눈치싸움과 심리전을 잘 하셔야 됩니다.
훌륭한 위장률을 활용해 언제까지 지속적으로 스팟 할 것인지,
스팟도 하면서 언제쯤 적시 적소에 클립을 퍼부어가며 아군의 방어를 더 공고히 할 것인지,
전열이 위험하다면 언제쯤 몸을 빼야 할지,
해당 판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계속해서 지켜보면서 매 순간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다른건 다 떠나서 이 전차를 공격적으로, 수비를 굳히고 있는 적을 공략할 목적으로 구입하실 생각이라면
그냥 불독을 사세요 기동력도, 순간 화력도, 범용성도 불독에게 떨어집니다.
하지만 수비상황, 위장력, 귀여움은 불독을 압도합니다.

이것 저것 단점이 있긴 있지만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는 전차인 것은 분명합니다.
다만 모두가 인정하는 (개새끼)는 되지 못할 것 같네요



마스터컷 참고



스팟딜이 읎어...



+ 크기를 비교해 보자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이 두대가 정상 매칭에서 같이 만날수 있답니다 여러분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