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글에 이어서 삥바바 육성편으로 돌아왔음.

이번 글에서는 삥바바를 처음부터 어떻게 키우는지, 스킬과 스텟은 어떻게 찍어야 하는지 정리해보겠음.


이 글 역시 필자의 주관이 가득한 글이므로, 정답이 아니라 하나의 방법일 뿐임.

본인의 의견과 다른 부분이 분명 있을것이니, 이런 의견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해주면 좋겠음.

번외로 버서크 삥바바나, 늑대변신 삥바바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정석 훨윈드 삥바바만 다루겠음.


1. 삥바바의 첫 육성

시즌 시작과 동시에 삥바바를 키우기로 한 당신. 

인벤 게시판에서 저녁에 약속을 잡고, 퇴근 후에 접속해서 파티등반을 시작한다.

파티의 구성원은 1바바(본인), 3소서, 4팔라. 오더는 플라잉 소서가 맡기로 했다.

바바만큼 파티플에서 편한 캐릭이 없다. 바바는 플라잉소서의 머슴이라고 보면 된다.

헬 액트3 전까진 바바는 파티를 따라다니면서 앞에서 몸빵하고, 샤우트와 오더만 외쳐주면 된다.

그리고 골드와 룬, 잠행재료, 패캐템들을 주워서 플라잉소서한테 몰아준다.


헬 액트3는 플라잉소서가 따로 방을 파서 도리깨 재료를 찾으러 가므로 방을 따라가서 오더를 주고 나오면 된다. 

소서들이 재료를 다 모아오면 소서가 만든 방으로 다들 이동해서 헬 액트3를 클리어하면 끝이다.


만약 파티원들이 서로 플레이가 마음에 들었다면, 여기서 해산하지 않고 디아런을 계속 가기도 한다.

슬프게도 누군가 이탈하고 디아런 이전에 파티가 깨졌다면 당신의 인생은 꼬이기 시작한다.


이제부턴 눈치싸움 시작이다.

누구보다 빠르게 디아런방을 게시판에서 검색한다. 인벤, 카큐 등.

그러나 냉정하게 시즌 극초반은 디아런방이 거의 없다. 

왜? 소서들은 60렙 언저리부터 메피앵벌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시즌 첫날부터 며칠간은 유니크템도 비싸게 팔리기 때문에, 이 시점에는 소서의 파밍력이 가장 좋다.

파티에 소서가 거의 없으니, 팔라정도가 딜러 끝이고, 바바는 진짜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 된다.

어느 방을 가도 소서는 귀한 몸이기에 팔라가 많은 방을 찾아야만 한다.

다행히 5~6팔라가 있는 방에 오더밥으로 취직했다면 당신은 성공한거다.

적당히 버서크로 딜을 넣는 척하고 몸빵도 하며 시체파밍을 하도록 하자. 룬은 매찬과는 상관없이 인원수만 많으면 잘 떨어진다.


소서가 있으면 다행인데, 소서가 없는 방인 경우엔 바바가 리프어택으로 카생입구로 가서 포탈을 열어주어야 한다. 

소서가 있는 방이라도 센스있는 바바는 먼저 웨이로 가서 소서가 나오면 오더를 준다.

그러다가 방에 바바가 3명이 되는 순간 눈치게임 시작이다. 오더 낮은 바바는 알아서 나가라는 무언의 압박이 심하다.

여기서 방금 말한 눈치껏 알아서 한 행동들이 파티원들에게 신뢰를 준다. 심지어 오더가 살짝 낮아도 말이다.

누군가가 죽었다면 포탈로 오자마자 오더를 주는 센스가 필요하다. 항상 오더를 모두가 받게 신경써야 한다.


정말 운이 좋으면 첫날 사신소서나 모자이크씬 거리두기방에 들어갈 수도 있다. 이건 거의 로또수준.

헌데, 이런 경우는 냉정히 잘 없다. 거의 하루 이틀, 시간이 그렇게 흘러간다. 막말로 다시 소서를 키울까? 생각도 한다.


2~3일이 지나면 유니크 값이 떨어지고, 슬슬 디아런방이 돌기 시작한다.

이쯤이면 이미 사신소서나 모자이크씬 거리두기방이 인벤 게시판에도 꽤 보이기 시작한다.

삥바바는 지금까지 젖동냥 하며 살다가 드디어 제대로 빨대를 꽂을 수 있게 된다.

마침 말룬 가격도 떨어진 편이고, 에테발록을 사다가 서약을 만들고, 안수장을 끼면 이제야 시작이다.



2. 스텟과 스킬분배

삥바바는 서약 - 1고뇌 - 2고뇌 시점이 가장 변화가 크다.

에테 발록블레이드를 끼기 위해 힘을 175, 체력은 오더 후 2천은 되게끔 찍어준다.

레벨업을 하며 체력을 2500까지 쭉 올려주고, 마나는 찍지 않고, 초승달 아뮬로 피마나흡을 채운다.

서약, 웰쓰갑, 키라의수호자(어둑눈), 초승달, 안수, 골드랩(트랑벨트,죽음의경비), 쌍왜성, 지옥불걸음(삥부츠), 쌍알리 착용이 끝났으면, 횃불도 싼걸로 구비한다.


디아런방을 주로 따라다닐거면 훨윈드도 찍지 않고, 파밍스킬과 오더를 찍어주면 된다.

스킬은 
함성 : 하울1 샤우트1 오더M 커맨드1 물약발견1 아이템발견5
전투숙련 : 검숙련M 스테미너1 달리기1 아이언스킨1 레지1
전투기술 : 배쉬1 스턴1 컨센1 버서크1 리프1 리프어택1

이렇게 찍어주고 거리두기방 따라다니면서 오더주고 시체파밍하면 된다.

80렙 중반정도가 되면, 뒷방 백댄서에서 화려한 솔로로 데뷔를 할 수 있다.


3. 정석세팅

서약삥바바 기준으로는 정석을 하는 편이 높은 체력으로 안전하다. 극삥은 최소 1고뇌부터 시작이다.

정석 스킬 세팅은 다음과 같다.

함성 : 하울1 샤우트1 오더20 커맨드1 물약발견5 아이템발견5(아이템발견은 스킬보너스를 포함해서 11이 좋다)
전투숙련 : 검20 스테미너1 달리기1 아이언스킨1 레지1
전투기술 : 배쉬1 스턴1 컨센1 버서크1 리프1 리프어택1 훨윈드20

여기까지 스킬포인트 83개가 들어가며, 퀘스트 스킬 12개를 다 받은 조건으로 71렙에 달성 가능하다.

만약 스킬보너스 장비가 횃불, 애니참, 슬가, 삥목걸이 등이 있다면 
아이템발견은 스킬보너스를 합해서 11이 되도록 찍고, 나머지를 물약발견부터 마스터하는게 아이템발견 확률이 좋다.

이러면 88렙, 횃불3스킬+애니참1스킬+슬가2스킬 착용시 아이템발견 확률이 약 67%정도 된다.


또한 서약삥바바는 용병이 거의 필수에 가깝다. 

용병은 위세용병을 추천하며, 앞글에서도 썼지만 키라의수호자, 팔라교복, 사신의 종소리를 주면 된다.

여유가 된다면 15올레잡옵주얼을 3개 사서 박아주면 된다. 개당 가격은 우움룬보단 저렴할 것이다.

이때 키라는 63레지 이상이면 선고를 맞아도 90레지를 유지한다. 


서약삥바바를 운용할 때는 위원회가 선고 or 광신+홀리프리즈 or 광신+위세 오라를 켜고 있다면 그 방은 건너뛰는게 차라리 낫다. 

선고는 하나만 있어도 거르는게 좋고, 광신, 위세, 홀리프리즈는 1개만 있는 경우는 할만하다.

피하라는 이유는 용병이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인데, 이러면 클리어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후 고뇌를 착용하더라도 스킬트리나 육성방법은 똑같다. 

어레 5천에 훨윈드 위원회 명중률이 약 73%정도 나오고, 어레 6천에 약 79%정도 나온다.
민첩당 어레는 슬가 기준으로 약 28정도 오른다. 

정석세팅 기준이라면 체력 여유가 있으므로 6천 어레를 추천하는 편이다.

오더를 마스터하기에 안정성이 좋으며 파티플레이에서도 환영받는게 정석세팅의 큰 장점이다.



4. 극삥세팅

1고뇌 이상 장착이 되면, 빙결방지는 각운이나 트랑벨트(죽음의경비)+알리바바를 사용하고, 가성비 좋은 도둑의 왕관을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부턴 극삥세팅이 가능해서 초기화를 할만 하다.

페블고뇌를 쓰는 기준으로 힘은 슬가를 쓸 수도 있으므로 슬가의 제한인 118을 추천하고

민첩은 위원회 명중률이 최소 70%이상, 나머진 체력에 주면 된다.

취향에 따라 체력을 낮추고 명중율을 더 높일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오더 후 3천체력에 맞추고, 나머진 민첩이다.

스킬은 극삥이라 정석 그대로에서 오더를 빼고, 물약발견과 아이템발견을 다 20씩 찍어준다.


필자의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89렙 기준 아이템발견 73%, 삥2426%(슬가착용시 74% / 2326%), 오더는 7개 밖에 못 찍어서 68%피뻥이다. 

위원회 명중률은 어레 5천에 73%가 나온다.

아이템발견 스킬 레벨당 확률은 
24렙 73%
27렙 74%
29렙 75%
33렙 76%
38렙 77%
이므로 각자 장비에 맞춰서 최적화 해주면 된다. 커맨드로 1스킬이 오르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필자는 스킬이 횃불과 애니참 밖에 없어서, 슬가를 착용해야 딱 74%까지 가능하다. 

엔드세팅 기준이라면 슬가+2스킬삥아뮬+7함성삥참+수수갑까지 77%가 가능하긴 하다.


삥은 이론상 참룬작 기준으로 

6렘무기 2개 900% 도둑의왕관 100% 웰쓰 300% 챈스가드 200% 쌍왜성 200%
골드랩 80% 삥아뮬80% 삥부츠80% 기드참160%
40삥참7개 280% 
10삥참7개 70% 

다 해서 2450%가 최대다(필자는 가성비로 맞춰서 -24%)
스피드런으로 어지간한 템을 무시하고 큐브랑 감정서까지 빼버린다면 70%삥을 더해서 2520%까지 가능하다.

가성비로 쌍알리를 쓰면 레벨에 따라 차이가 있긴한데 
필자 기준으로는 약 155%삥이 빠지고, 178%매찬이 올라간다. 시즌 중반부턴 매찬보단 삥 가치가 더 높은 편이다.


이 세팅으로 한 사이클당 먹는 골드는 평균 약 60만 골드 정도 된다. 쌍알리 사용시엔 평균 약 50만 골드 정도를 먹는다.

다만 단점이 10판에 2판 꼴로 100만 골드처럼 레벨제한을 넘는 골드가 떨어지기 때문에

극삥세팅이지만 제대로 줍질 못 해서 시간적으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그래도 이게 가장 효율이 좋다고 생각해서 사용중이긴 하지만, 

굳이 렘룬이 비싼 초반에 무리해서 6렘 무기를 찰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차라리 시즌 초반엔 레벨을 올려서 알리바바 효율을 올리는게 낫다. 이때는 매찬도 유효옵이기도 하고 말이다.

제로 만렙이면 알리바바는 6렘보다 삥이 53%씩 106% 차이지만, 매찬은 198%가 더 오른다.



글이 생각보다 길어진 관계로 여기서 줄이고

다음 3편에서 주워야 할 아이템 목록들, 그리고 세팅별 파밍시간, 팁에 대해 정리해 올리도록 하겠다.

어제 처음으로 직득한 자룬 자랑으로 글을 마친다. 위원회 몹도 자룬을 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