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세인 광기에 굴복하라 특성은 광기수급량을 150% 올려주고 무빙캐스팅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보통 가장 어려워지는 마지막 페이즈때 영혼의 마격딜을 꼽게 해주는 특성인데요.

다들 극한의 딜을 꼽아넣기 위한 3격류를 위해 부단히 연습하고 계실겁니다

 

(이 글은 어디까지나 입와우기 때문에 틀리거나 다른 부분도 있을테니 발견하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3격류란 간단하게 공허폼 전용스킬 '공허의 격류'를 광굴 지속중 3번 사용하는걸 말합니다

 



공허의 격류


4초동안 주문력의 960% 피해를 입히고 시전중엔 광기가 소모되지 않습니다.

이 스킬은 가속으로 시전속도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60)



쿨타임이 1분인 공허의 격류를 3번 쓴다는건 최소 광굴을 120초 유지하여

해당 트라이에서 암사가 보여줄 수 있는 극한의 딜링을 보여줬다는 말과 같습니다.

허수아비에서도 힘든 3격류. 어떻게 하면 쓸수 있을까요?

 



1. 보스별 택틱 숙지. 공대 rdps 예상하여 베스트 타이밍 잡기


먼저 네임드별 공략을 숙지하고, 운도 따라줘야 합니다.

에메랄드의 악몽의 보스들은 전부 우르속같은 패치워크형도 아니고, 무빙캐스팅이 가능하긴 하나 실제로 게임을 하다보면 마음놓고 광굴을 쓸만한 요건이 되질 않습니다


예를들면 신화 1넴 니센드라같은 경우는 부식중첩10이상이 되면 정기적으로 정신지배에 당하기 때문에, 베스트 타이밍에 광굴을 쓰기 쉽지 않고, 운이나쁘면 마격타임 진입 한창 후에 쓸 수도 있습니다. 무빙간 현자타임이 강제되는 일기노스, 렌퍼럴과 위협적인 CC, 점사우선 순위가 명확한 악몽의 용이나 세나리우스도 마찬가지구요.

 

사실 3격류를 고집할 이유는 없습니다.

멍청하게 광굴 직전에 격류를 쓴게 아니면 왠만해선 2격류는 쉽게 되고, 삽질만 하지 않는 한 기대치의 딜을 뽑아주기 때문이죠


다만 3격류를 보는것은 극한의 딜링을 뽑아낸다는것과 일맥상통하고, 딜러라면 미터기를 뚫어보고싶은 욕망정도는 당연히 있을 겁니다. 현재 암사에게 공대가 기대하는 기대치가 크기도 하구요. 그렇기에 광굴을 쓰더라도 이왕이면 3격류를 노린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는게 좋다는 겁니다.

 



2. 광굴 돌입 전 주요스킬의 쿨타임 계산

 

1) 마력주입


보스피가 40~45%즈음 될 때 쓸지 말지를 판단해야합니다.

광굴 막바지에 버티기용으로 마력주입을 쓰기 때문에 비교적 여유가 있지만 적어도 30초안에 광굴스타팅이 예상되는 경우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2) 공허의 격류 & 도트리필


3격류를 위해서는 광굴스타팅 이전 55초전까지는 사용을 자제해야합니다.

최초 1격류는 광굴을 쓰고 난 직후 바로 쓰는것이 좋습니다. 도트리필을 감안하더라도 최소 3글쿨 안으로 사용을 해야됩니다. 이 1초 2초가 나중가면 굉장히 중요해지기에, 이왕이면 공허폼 진입전 도트를 한번씩 리필해주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3) 분산


3격류를 목표로 한다면 분산도 격류 후 바로 이어서 쓰는것이 좋습니다.

집단실성 스택과 가속스택은 쌓이지 않지만 격류의 쿨타임을 6초 벌 수 있습니다.

(심크래프트 상에서도 극초반, 극후반 분산을 2번 사용합니다)

다만 실전에서 쿨타임이 안올수도 있고, 공략이행상 6초간 딜링을 멈추는게 독이되는 경우는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단 쓰려면 극초반에 쓰고 필요할 때 쓰기위해 쟁여둬야 합니다.




3. 광기소모와 광기수급, 딜 사이클



산술적인 방면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 드레인스택 : 초당 광기소모

 

공허폼에서 광기소모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drain = 9 + ((drain_stacks - 1) / 2)


공허소모는 9부터, 초당 0.5초씩 증가하여

드레인스택 60(1) 38.5

드레인스택 120(2)에서는 초당 69씩 떨어집니다

 

공허폼시 초마다 쌓이는 가속스택은 100의 상한선이 있으나

이 드레인스택은 공허폼이 끝나기까지(or die) 쌓이는게 멈추지 않습니다.

그리고 격류와 분산 시전중에는 드레인스택이 쌓이지 않습니다

 

공허의 격류 쿨타임은 60초로 3격류를 쓰기위해선 첫격류 후 최소 2분동안 버텨야합니다만

정확히 1분마다 다 격류를 쓰기는 어렵기 때문에 25

최소 120초는 광굴을 유지해야 하는 쪽으로 잡겠습니다

 

3격류를 위해선 지속시간동안 격류2번 분산2(혹은 1)

 

4+4+6+(6) = 14 or (20) 드레인스택을 벌게됩니다.

 

공허형상을 진입하고 2분동안 버텼고, 그동안 분산과 격류 각 2번을 썼다면 순수하게 106초를 버텨야합니다. 격류-분산 스타팅으로 분산을 두번썼다면 100초가 됩니다.

 

여기서 광기수급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아무리 가속이 빨라도 글로벌 쿨다운은(GCD) 속중첩이 100%이 되는 시점에서 0.75초로 고정되고 그 밑으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대부분 가속스펙이 25~30%쯤 되실텐데 체감상 2격류를 쓴 시점부터(폼 유지 1분이상) 70~80스택즘 글쿨은 상한선에 도달합니다


? 계속 빨라지는데? 라 생각되는건

어디까지나 글쿨이 제한된 것이지, 이후 스택이 쌓여(혹은 마력주입 사용) 높아지는 가속의 영향을 받아 기술들의 재사용 대기시간과 시전속도는 정상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액면상 가속 100%가 됬을 때 (가속중첩 70~80중 즈음)


1. 정신분열(MB)의 시전시간이 0.75초(1GCD 이하)가 됩니다.

2. 채찍(MF) 풀틱이 1.5초가 됩니다.

3. 공허의 화살(VB) 재사용 대기시간이 2.25초가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3번인데, 가속이 100%가 되는시점에

화살쿨은 글로벌쿨다운(GCD) 0.75초의 3. [화살시전-2글쿨] 후 쿨이 돌아오게 됩니다.



 

화살(VB)-정분(MB)- 1GCD -화살(VB)



이것이 기본 사이클이 됩니다.


각 스킬별 광기수급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광굴

마주

화살

16

40

50

정분

12

30

37.5

채찍(1)

2

5

6.25

죽음

30

75

93.75

원혼

4

10

12.5

 


여기서 딜 사이클을 아래처럼 잡겠습니다.

 

VB - MB - MF - VB - SW:D - MF - VB - MB - MF - VB - MF - MF

 

한글로 ----죽-채------ 가 되겠네요

(참고로 SW:D는 어둠의권능:죽음으로 쿨타임은 GCD6곱입니다.)

 

12글쿨 = (0.75 x 12 = 9)

총 광기수급량은 345. 초당 평균 38.3의 광기를 얻는 사이클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입와우니까 대충 봐주시길^^) 




4. 마력주입은 왜 스택 85초즈음에 쓰는가?

 

액면스택 85중첩에 실제 드레인스택은

분산을 사용했을 때 71스택 / 분산을 미사용시 77스택입니다

드레인스택 77에서 광기소모량은 초당 47입니다.

 

상황을 분산을 쓰지않은 격류2회로 가정하고

위 3번목차에서 계산한 사이클 기준 초당 38.3씩 소모되는 광기는

드레인 60스택부터(가속 68스택) 평균 수급량보다 소모량이 증가하며 계산상 드레인스택 80(가속 88스택)에서 총 광기 누수량 합이 110으로 광기 총량을 넘어 죽게 됩니다.

 

드레인스택 80은 다시말해 공허진입 후 88(격류 28스택을 벌었으므로) 이고.

지연시간 기타등등을 다 감안하면 중첩 85초 쯤 마력주입을 쓰는게 적절해 보이네요.


어디까지나 위 초당 38.3 광기수급은 평균치로 낸거고

실제 광기수급은 상서로운 영혼의 광기수급효과로 여유가 좀 있는 편입니다,

(다시말해 샨레인특성은 마주없이 88스택을 넘길 수 없다는 얘기죠)


그리고 평균치의 맹점 또 하나는,

어디까지나 위 초당 광기수급량은 평균치다 보니

사이클 중 채찍을 2글쿨동안 연달아 쓰는 타이밍 (1.5초에 20광기수급)에선 굉장이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아마 마력주입 사용 전에 픽 죽어버리는 구간이 채찍 2글쿨 후 화살

이 구간에서 화살 후 바로 정분을 땡기는 캐스팅 도중에 죽는게 대부분일 겁니다.


간단하게 


MF-MF-VB-뒈짖! 인데 

이구간이 3글쿨+정분 시전시간이라 굉장히 위험합니다.

정분 캐스팅 직전 2.25(3GCD)동안 수급된 공허는 60인데초당 광기는 50가까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5. 그림자 원혼의 추가 광기수급

 

이제 상서로운 영혼-그림자 원혼으로 추가로 수급받는 광기를 보겠습니다.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8&my=post&l=79721

 

요건 얼마전에 가속에 따른 도트틱 breaktime을 계산한 글인데

드군이후 가속으로 인한 도트뎀이 실시간으로 적용 되어 의미없는 뻘글이 된줄 알았습니다만

의외로 다른쪽에서 도움이 되긴하네요 --;

 


양민 평균스펙 가속 30% 치타 25%. 

중요한건 고중첩때 광기수급이므로 가속중첩 100스택일 때 가정하여 계산을 하면,

고통은 16/흡손은 14틱이 됩니다(가속 130%) 

 

고통의 지속시간은 14초니 치명타 25%기준으로


(16x0.25)x10/14 = 초당 2.857의 광기를 얻게됩니다

 

에게?



이제 유물특성을 찍은 흡손의 원혼도 계산해봅시다.

(특성 3개를 찍으면 흡손 극대화 틱당 45%확률로 원혼이 터집니다)

 

(14x0.25x0.45)x10/18 = 초당 0.875의 광기를 얻습니다.

 

 

여기서 흡손 성물(1개당 흡손원혼 확률 15%+)을 추가할 경우

 

1성물(1.166), 2성물(1.458), 3성물(1.750)가 됩니다.

데미지부분은 제하더라도 광기수급량으로 따지면 실망스러운 수치네요.

 

뭐 요약하자면

 

치타 25% 가속 30% 스펙 암사의 가속 100중첩때 원혼의 추가 광기수급은 초당 3.73이고

마력주입을 쓸 경우 가속은 169%. 고통 19/흡손 16틱으로 늘어나기에

3.329+1.000 = 초당 약 4.4의 광기수급을 받습니다.

 

사실 이건 수치상으로 초당평균을 내서 그런거지, 치타신이 강림하여 원혼이 연달아 터져 위험한 구간을 안정적으로 넘길 수도 있는거고, 광기가 꽉차있을 때 터지는 원혼은 의미가 없으니 이건 그냥 그렇구나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6. 마력주입


마력주입은 가속을 25% 증가시키고 광기수급량도 같이 증가시키키 때문에

버프가 있는 한 죽음으로부터 (수치상으로는)안전합니다.




???: 여러분 마력주입이 있는동안은 걱정마십시오




7. 마력주입 이후 3격류까지


이제 실질적으로 버프이후 어떻게 버티는가에 대해 보겠습니다.

 

3격류를 보려면 최소 120~125초 이상 생존해 있어야합니다.

첫 변신 땡! 바로 격류후 정확히 60초 후 쿨낭비 없이 격류를 쓰긴 정신없고 어렵기에 넉넉히잡아 5글쿨정도 낭비를 한다고 가정. 광굴 진입 124초 생존 후 3격류를 쓰는 것으로 보겠습니다.

 

광굴진입 124/ 3격류 사용 직전의 드레인스택은

 

124 - 분산 6 + 격류 8 = 110


드레인스택110 으로 초당 63.5의 광기가 소진됩니다.

그리고 중첩 85때 마력주입을 쓴다고 가정하면 버프가 끝나는 시간은 

광굴진입 후 스택 105시점(실제론 100스택). 격류를 두번 쓴걸 가정하면

진입 후 113(105+8)초인 상황입니다.


124-113 = 약 11초를 버프없이 기본가속으로 견뎌야합니다.

여기서 최후의 분산으로 6초를 세이브합니다. 그럼 남은건 단 5초!


5초면 짧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스킬이 7번 돌아가는 시간입니다. 

고작 5초? 최고조 상태에서의 7글쿨. 아마 많은분들이 여기서 쓴맛을 보셨을겁니다.


드레인스택 101~110의 총 광기소모량은 612.5

초당 60 가까이 광기가 소모됩니다.


이때는 정분이후 채찍을 끼워넣지 않습니다. 화살 쿨타임이 채찍 글쿨보다 더 빨리오기 때문이죠.

딜 사이클은 VB - MB - VB - SW:D or MF가 됩니다


VB - MB - 0.45초대기 - VB - SW:D - VB - MB - 0.45초대기 - SW:D or MF


이 사이클은 총 6.1초에 370의 광기를 수급합니다. (물론 채찍없이 연달아 죽음을 사용할때!)

원혼 평균치 초당 3.7를 더하면 392. 초당 65정도 수급이네요.

이 순간부터는 지연시간과 약간의 판단미스, 잠깐의 망설임정도로 끔살이 나버리게 됩니다.


이때는 정분이후 채찍을 끼워넣지 않습니다가속 130%기준으로 채찍을 쓰면 화살쿨 0.3초 이상 낭비됩니다지연시간을 감안하면 채찍을 쓰는것보다 화살쿨을 빨리 돌리는게 이득이 됩니다알아둬야할건 저상태에서 채찍을 2GCD 연달아 쓰는경우에는 높은확률로 죽습니다. 상황판단을 하라는건 이 부분입니다


2GCD (1.5초)에 채찍의 광기수급량은 많아봐야 4틱으로 20인데 광기되는 소모는 1.5초당 90이상이기 때문에 죽음이 후속타로 들어가지 않는 한 지옥을 맛보게 될겁니다. 이때는 사실 채찍유무보다 이 시점에서는 상서가 얼마나 시기적절하게 터지고애껴놓은 죽음각을 어떻게 잘 잡고, 최후의 분산을 어느타이밍에 쓰느냐가 키포인트가 되기 때문에 이건 개인 재량에 맡길 문제겠네요.



 

 


8. 정리 및 요약

 

뭐 키포인트는 다들 아시다시피 마력주입을 최대한 늦춰 버프가 없는 고중첩 현자타임을 몇초간 늦추고, 최후의 순간에 분산으로 인공호흡하여 억지로 격류쿨을 버티면 되는겁니다. 근데 강철멘탈을 지닌 닝겐 알파고가 아닌이상 분명 쫄보마냥 마력주입을 일찍 쓸것이기 때문에(혹은 쓰지도 못하고 죽거나^^) 실전에서의 3격류의 길은 멀기만해 보입니다.

 

위에 계산한 산술적인 수치로 봐도 3격류는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지연시간 문제도 있을 것이고, 무빙도 해야되고, 죽음각도 재야되고, 리듬게임하듯 정확한 상황판단 요구에, 거기에 적절하게 상서도 터져줘야 3격류가 되는겁니다.

 

3격류? 난 대충해도 가는데? 존나 쉬운거 아니냐?

이런식으로 입터는 건 허세만 가득찬 양아치의 뻥카와 마찬가지니 적절하게 걸러 들으면 됩니다.

 

'아 난 개나소도 하는 3격류 왜 안될까..' 하고 자책하실 필요없습니다

원래 힘드니까요.

 

뭐 템이 갖춰지면 쉬울수도 있는게,

광굴 형상진입후 곧바로 분산을 두 번 써서 드레인6스택을 벌수도 있고, 본문에 제외되어있는 택틱에 따른 쫄몹 원혼과 가속버프들(시간의파편, 감금셋, 치타발동형 장신구) 같이 광기수급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운에 따라 수월하게 갈 수도 있을겁니다. (이게 시간의파편 장신구를 높게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면 우르속같이 후 블러드를 쓴다던가 같이 말이죠.


그 외에 전설허리띠 같은 경우는 위험한 구간을 화살-정분-화살-정분으로 간단히 넘길 수 있기 때문에 이경우엔 손쉽게 3격류까지 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허리띠좀.. 징징징

 

저도 허수아비 상대로 심심치 않게 3격류가 되긴 합니다만 아직 실전에선 못써봤습니다. (워낙 쫄보라 80중도 안되서 마주를 써버림^^) 3격류를 한다는건, 공대 rdps 각을 재고 2분 넘게 광굴상태로 영혼을 불사르는 딜을 했다는 얘기고, 그렇게 네임드를 쓰러뜨렸을 때 만족감은 하늘을 뚫을 것 같습니다. 미터기는 말할 것도 없구요.

 

아무튼 3격류를 실전에서 쓰는 날을 위해 암사님들 항상 파이팅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