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로스트아크에서 보통 일반적인 직업의 스킬밸류를 확인할 때는 스킬자체의 쿨타임대비 데미지만을 고려합니다. (너무 짧을 경우는 쿨누수에 취약해 대부분 포함하지않음)
캐릭자체의 아덴, 직각특성,족쇄 등이 있는 직업들은 어느정도 예외가 있지만, 보통 그렇습니다.

절제의 경우는 타 직업에서 추가적으로 시전시간 대비 딜을 확인해야합니다.

쿨타임대비 데미지는 전체 플레이 타임에서 딜을 이만큼 넣을 수 있다라는 고점을 뜻하는 지표입니다.
시전시간 대비 딜은, 한정된 시간의 딜각이 잡혔을 때, 스킬을 많이 넣을 수 있게되어 비교적 "폭딜"(ㅠㅠㅠ)을 넣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절제의 스킬밸류

위 표는 DPS 제작자 DB에서 일부 수정 및 추가된 값으로 돌베의 경우는 딜레이가 정확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전체스킬의 질풍룬 또한 미적용 상태 딜레이로 표기되어있습니다. 
연환,열공 전설질풍, 회선영웅질풍 채용상태입니다.
(추가적으로 풍진격 내려치기는 없으나, 풍진격 내려치기는 시전시간 대비딜은 열공참,회선창과 비슷하고, 쿨타임 대비 딜은 확실하게 회선창 아래입니다.)

절제는 반월섬의 스킬밸류가 제일 우수합니다. 시전시간 대비딜은 다른 스킬에 비해 월등히 높고 쿨타임 대비 딜은 강베의 경우 연환섬에 밀리긴 합니다만 우수합니다.

그래서 청룡진 - 반월섬은 무조건 최우선으로 사용해야하는 스킬인겁니다.
최대한 반월섬에 치명타율을 더해 최우선적으로 데미지를 증폭시키는게 중요하단 뜻이죠. 그 다음 쓸 스킬은 어떨까요?

쿨타임 대비 데미지의 순서대로 넣으면 고점이 향상됩니다. 
청-반-연-열-맹-회-풍-일 순이죠.
딜레이 대비 데미지의 순서대로라면 제한된 딜타임에 순간적인 데미지 향상이 있습니다.
청-반-맹-연-(열 or 회 or 일 or 풍)

정리하자면 
청룡진사이클 -> 연 열 1회 추가사용을 반복하는게 제일 고점이 높고
청룡진 사이클을 1회만 사용할 수 있고 딜타임이 한정되어 있다면 
청-반-맹-연-(열 or 회 or 일 or 풍)으로 마무리하는게 좋다. 입니다.


3. 실전에선?
그러면 끝이느냐? 아닙니다. 사실 여기서 추가적으로 단일스킬데미지도 확인해야합니다.
대부분의 레이드는 쿨정렬을 한 상태로 치는 허수아비와는 다르기때문에 실전에선 쿨누수가 발생합니다. 고신극신을 지향하는 절제는 이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하위표는 사멸3셋 + 각인 원저기돌절아1(아2) 세팅을 신속효율을 전부 사용했을 시, 치반,치귀 스위칭 관련 입니다.

대략적으로 신속스텟을 전부 활용 시 대략 2퍼 3퍼씩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이클 주기를 단축시켜 100번 청룡진 사이클을 돌릴 때, 2회 3회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만찬 + 갈망3 시 귀걸이까지 풀공속)

사실상 이 정도 수준이면 치반,치귀를 끼는게 나을 지경이지만 실제론 열연쿨 차이가 나서 스킬을 넣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가 발생해 치반 치귀는 넣지못하는 열연 1회 추가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극신을 지향하는 것 입니다. 거기에 파티조합에 치적이 포함된다면 누수까진 아니더라도 사실상 과치적 상태이므로 무난한 극신을 채용하는 것이죠.

사담이 길었습니다. 어쨌든 스킬쿨 누수가 발생하면 쿨타임 대비 딜이 감소하는 효력을 나타냅니다. 절제는 쿨타임이 기본적으로 짧아서 쿨누수가 발생하는게 사실상 확정된 상황(컨텐츠 특성 상, 숙련도 관련)이라면 일부 스킬을 포기해야합니다. 이때 고려하는게 딜레이대비 데미지와 단일 스킬 데미지입니다.

이게 반월 맹룡 연환까지는 사실 거의 확정적입니다. 문제는 그 다음스킬들의 밸류가 엎치락뒤치락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4. 풍진?열공?회선?일섬?
일단 풍진격 열공참 회선창 일섬각은 시전시간 대비 딜이 유사합니다. 열공참과 회선창은 시전시간자체가 비슷하고, 풍진격은 그보다 조금 빠르지만 저 둘보다 데미지가 낮습니다. 일섬각은 풍진보다도 약한 대신 이동유틸 및 다단히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열공참과 회선창은 단일사용 밸류가 유사합니다. 시전시간도 그렇고 데미지도 그렇습니다. 회선창은 전진성 및 경면이 있고, 열공참은 대신에 높은 쿨타임대비 딜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동이나 경면이 필요한 타이밍에 열공과 회선을 선택해야한다면 과감히 열공2회 사용을 포기하고 회선으로 접근 및 경면 사용 후 상황에 따라 열공2회 사용가능성을 열기위해 열공을 쓰거나 한정적인 딜타임이라면 풍진격 및 일섬각으로 마무리 그마저도 안된다면 포지셔닝을 선택해야하는겁니다.


5. 결론
딜타임에 따라, 보스 이동유무에 따라, 다음패턴예측에 따라 최적의 선택을 해야합니다. 물론 청룡진 쿨타임단위로 해당 선택은 반복됩니다. 사실상 지속사멸의 문제라고 할 수 있죠. 최적의 선택을 매초단위로 강요받으면서 리턴에 대해선 굉장히 불투명하기도하고, 그냥 뇌비우고 치는 것과 어마무시한 차이가 나지않습니다.

지금 절제가 약세인 이유는 개인적으론 열공참의 쿨타임 대비딜을 전량 활용하기 어렵다.(2연까진 어떻게 해도 2열까진 어렵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다만 그럼에도 조금이라도 t실전고점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몇 가지 더 공유하고자 합니다.
1. 맹룡의 단독사용화
2. 반월섬 돌베,강베 컨텐츠별 유효성
3. 열공,회선,일섬,풍진과 치반,치귀,룬에 대해서(전반적인 레이드 세팅)

글이 너무 길어져서 다음글로 작성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