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드디어 저도 앰플라뎀마를 해보게 되어서 리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테스트는 떰이님께서 장비를 대여해 주셔서 가능했습니다.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1. Intro

처음에는 잘못된 컨셉이라 생각했다. 앰플 하나를 위해 얼마나 많은 것을 포기했는데.. 앰플 효과를 누릴수 있는 맥뎀참을 넣어야지 라뎀참이라니.

그러나 인생은 늘 그렇듯 계산대로 흘러가지만은 않고, 의미심장한 후기 하나를 발견한다.


<He is faith에요...>

해보지 않고서는 좀처럼 알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앰플이 걸려있을때를 기준으로 하면 물론 맥뎀참이 더 쎄기야 하겠다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실제 플레이시에 앰플은 얼마나 걸려 있었나. 항상 모든 몹에 앰플이 발라진 것도 아니고, 멀티샷을 쓰면 더 좋을 상황에서 앰플 터질때까지 속사를 누르고 있게 되기도 하고, 이런저런 로스를 합치면 기여도는 어느정도 될까, 이런 부분은 계산으로는 알기 어렵다.

하지만 라뎀참 한두개는 몰라도 세트로 구하기가 영 어려워 궁금해만 하고 있었는데 떰이님 덕분에 실제 체험을 해 볼 수 있었습니다. 


2. 세팅 정보

참; 라뎀 합계 33-1845, 라뎀참, 라뎀피참, 올레지라뎀참 으로 구성
활:  [-10] 앰플활 35%공속
나머지: 20패캐 30속 60맥 뚜껑, 수수, 안수, 관통, 아트마, 듀얼링, 레이븐, 고어 -> 멀티샷 8프레임
용병: 무공 치료 명굴

스킬: 멀티샷23 -가이드 M - 속사 M - 크리티컬 27 - 관통9 나머지 자유
스탯: 힘 - 스왑 에테모너크, 민첩 - 아이템 포함 500, 나머지 활력. 소집 함성 시 피통 1200 정도

속사 데미지 기준 
합계 = 1551 ~ 5678
물리 = 1518 ~ 3833
라뎀 =    33 ~ 1845
로, 저항과 크리티컬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대략 물뎀:라뎀 = 3:1 정도로 구성됩니다.
실제로는 몬스터 별로 물리/번개저항에 따라 달라지나, 번개저항은 무공으로 상시 -85% 정도를 받고, 크리티컬 확률은 76% 정도 되어 실제 비율도 크게 벗어나지는 않습니다.


3. 데미지 비교

주요 몬스터에 대해  maxroll dps를 맥뎀참 사용시와 비교 표입니다.


- 라뎀마는 무공용병 사용 기준
- 라뎀마는 파괴참 X, 맥뎀마는 물리파괴참 사용 기준입니다. maxroll은 물리파괴참+저주시에 저항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수기로 조정했습니다.

유의할 점은 라뎀참은 장당 평균 66라뎀정도 인데 비해 맥어레피참은 3/20/20 스몰지참을 기준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성능상의 공정한(?) 비교를 하려면 맥어레참도 3맥20어레 정도와 비교하는게 맞을수도 있겠지만, 구하는 난이도를 감안하여 그대로 진행 했습니다.


- 일반적으로 데미지 기대값은 
맥뎀참(앰플 X) < 라뎀참(앰플 X) < 라뎀참(앰플 O) < 맥뎀참(앰플 O) 순서대로 형성됩니다. 결국 둘 사이의 데미지 우열은 앰플이 얼마나 걸려있는가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

번개면역몹의 경우 버닝소울(물리저항 90%) 을 제외하면 앰플이 걸려있든 아니든 맥뎀참 쪽이 우세했으나 이런 몹 중 피통이 커서 잡는데 오래 걸리는 몹이 없어 큰 의미는 없었습니다.

요부의 경우 맥뎀참 사용시에 물리파괴참을 사용한다면 앰플 이후에 데미지가 3배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라뎀마의 경우도 물리파괴참을 사용한다면 앰플시 멀티샷/속사 dps가 각각 11,484 / 20,024로 맥뎀마의 80% 수준까지 올라오면서 앰플 터지면 녹는 느낌이 납니다. 파괴참 부분은 뒤에 자세히 서술 하겠습니다.

데쓰로드는 물리저항 66% / 번개저항 33% 로 특히 라뎀마에게 유리한 몹인데, 피통이 크고 공격력이 높아 어려운 몬스터로 맥뎀마보다 쉽게 잡히는 것이 체감되는 수준입니다.


4. 플레이 시간 측정

풀방 바알런을 진행하며 측정 했습니다. 1번쫄 출현~바알킬 까지의 시간 측정입니다.


- 전체 시간에서 맥뎀참보다 소폭 더 걸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평균 3분 정도로 약 10초정도 더 소요되었는데, 바알쫄은 몹이 잘 모여 나와서 앰플이 특히 잘걸리는 구간임은 고려해야 합니다. 

- 보스전도 살짝 더 걸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무리 치료 뚜껑을 썼다지만 무공이 긍지랑 딜링을 비교하기는 미안한 무기인데.. 역시 핵심 변수는 말뚝딜 스펙보다는 바알의 텔포, 분신, 밀치기 등 패턴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라뎀마의 경우 바알이 본체를 보기때문에 용병과 밀치기를 같이 맞지 않도록 각을 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냥 생각하기에는 그것을 잘 하면 잡는 속도가 더 빨라질 것 같지만, 텔포 후 자리잡는 무빙에서 발생하는 딜로스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비슷비슷 했습니다.

라뎀마의 장점 중 하나는 스킬 포인트가 많이 남는다는 점입니다. 명중에 아예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 간파는 물론이고 내면의 시야까지도 굳이 찍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뢰마보다도 포인트가 많이 남습니다. 보스전에 특화시키려면 관통을 찍고 스웹+슬타장을 끼고 무기35+머리45 공속을 맞추는 방법이나, 스왑 신탄을 들고 퓨전마를 타는 방법 등이 있는데, 각자 장단점과 호불호가 있는 분야이기는 합니다. 

앰플마는 파낙도 없고, 라뎀마는 긍지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악마증뎀 300%의 영향은 정말 큽니다. 슬타셋을 구성할 경우 편하기는 하지만 시간은 오히려 더 걸렸습니다.

퓨전마의 경우 용병 무공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왑 신탄만으로도 화력은 충분히 나오지만, 콜투가 빠짐으로 인해서 풀방은 용병 생존에 조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물론 긍지용병보다는 낫지만 기본적으로 준영이 생존력이 썩 좋지는 않은 편입니다.


5. 파괴참 써야하나 말아야하나?

지극히 "취향" 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없어도 게임 진행에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애초에 파괴참 출시 전부터 번개 속성이 선호되었던 이유가 무공으로 면역을 못벗기는 몹이 거의 없기 때문이었습니다. 또 앰플의 경우 파괴참이 없어도 물리저항을 20% 깎아주기에 돌가죽이어도 대부분 데미지가 들어는 갑니다.

그러나 저의 취향으로는 넣는 편이 나았습니다. 이미 물파참의 뽕맛을 본이상 ㅋㅋ 라뎀마라도 파괴참 없이는 좀 답답함이 느껴졌는데요.

물리 면역+번개 면역을 생각보다 자주 만날 수 있었습니다. 원래 번개 면역 + 돌가죽이라던가 ( 카생 9시 수문장), 원래 물리 면역 + 번개 강화 (고문자 리스터, 요부 정예 등). 특히 리스터의 경우 잡히긴 잡히는데 정말 오래 걸립니다. 

일반몹에서는 물리 면역 + 번개 면역이 나올 수 없고, 스킬 포인트가 넉넉하다는 점을 감안해서 매직애로우 마스터를 사용해보았으나, 기본 물리데미지가 낮은편이어서 그런지 역시 생각만큼 만족스럽지는 않았습니다. 전체 킬타임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아닐지라도, 재미 측면에서 저는 넣는것이 더 나았습니다.

다만 라뎀마는 보스가 본체를 보기 때문에, 디아 싸다구를 견디기 위해서 피통을 넉넉하게 가져가야 합니다. 치료뚜껑으로 인해 디아 팝업 되기 전에 앰플은 지워지지만 그래도 최종 피통을 1200 정도는 가져가는 것이 마음이 편했습니다.


6. 총평

앰플라뎀마는 마치 다이아보우 베이스처럼 편차가 적은 느낌이었습니다. 맥뎀참을 사용할 경우 앰플 전/후가 마치 민/맥뎀 차가 큰 쉐도우나 그랜드 느낌이라면, 라뎀마는 앰플이 터지든 안터지든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습니다. 앰플과 라뎀의 조합이 언밸런스 같지만 사실은 밸런스가 아주 잘 맞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성능 면에서 어느쪽이 더 우월하다고 하기는 어려운 정도로 비등비등했으나, 스킬 포인트가 많이 남아 유틸 챙기기 좋다는 점은 확실히 라뎀마의 우위로 보입니다. 또 라뎀참을 전부 90을 상회하는 고급으로 맞춘다면 라뎀마 쪽 성능이 살짝 우위일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입니다. 결국 앰플마라고 해서 항상 모든 몹에 첫 속사 한번으로 앰플을 100% 바를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앰플 X 시에 라뎀마가 dps가 높은 부분이 충분히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앰플라뎀마는 특별히 단점이라고 할 만한 것이 잘 안보이는 어쩌면 무서운 세팅입니다.. ㅋㅋ 굳이 뽑자면 바알킬이 사종용병 사용하는 세팅들에 비해 좀 불편하다는 것 정도인데 이것은 어느 앰플마든 공유하는 문제점이고 맥뎀참 vs. 라뎀참의 문제는 아니긴 합니다. 진정한 단점이라면 구하기가 어렵다 정도..? ㅎㅎ


7. 플레이 영상

풀방 파괴의 왕좌 + 바알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