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패치에서 TC 85로 재조정 되는 지역들이 몇 군데 생기는 것은 다들 아실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그렇다면 그 지역에서 무엇이 어떻게 떨어지고, 그 지역의 몬스터는 무엇이 있으며, 
기타 다른 지역의 정보를 알고 싶어하실것 같아서 몇가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드랍템의 품질에 대한 이해

디아블로 2에서 아이템이 드랍될때에는 , 다음과 같은 계산 과정을 거칩니다. 
1. TC(Treasure Class)를 통해서 드랍 가능한 아이템 테이블을 불러옴
2. 드랍할 템의 수량을 설정 
3. 아이템의 종류 설정(껍데기를 정합니다. 불즈 일지, 레전드 소드일지, 배틀 부츠일지 등)
4. 지역레벨을 통해, 3.에서 결정된 아이템의 품질 결정(노멀,매직,레어,유니크 등)
5. 옵션의 종류, 범위, 수치 결정

이게 어떻게 무슨 상관인지 잘 모르겠다면 조금 뒤에 갖다 붙여둘 표만 보셔도 됩니다. 

이걸 쉽게 설명하면 TC는 드랍되는 아이템의 속칭 껍데기라 불리는 베이스 아이템이 무엇일지 결정하며, 지역 레벨은 그게 유니크 일지, 세트 일지 같은걸 결정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TC가 드랍 가능한 '룬' 까지도 결정하는데, 이건 뭐 딱히 상관 없습니다. 왜냐면 이번에 조정된 지역들은 죄다 기존 TC가 84+이라서 원래 모든 룬이 다 드랍 가능한 장소거든요. 
그러니까 드랍률은 별개로 하고, 원래부터 조드룬까지 다 떨구던데다 이 말입니다. 
(사족으로, 이것때문에 생기는 혼란이 1막 백작(카운테스)이 '이스트(아이스트)' 룬까지 떨군다고 하는데 
 왜 나는 탑 5층에서 자룬, 참룬 먹었냐 하는 겁니다.  백작의 TC는 66이라서 이스트까지만 보정받는데, 
 탑의 TC는 84라서 조드룬까지 떨구거든요. 즉, 백작의 테이블과 별개로 극한의 확률로 조드룬까지 떨어집니다.)

그러니까 이번 2.4에서 패치 될 '지역 레벨'은 사실상 드랍템의 유니크 범위만 늘어났다고 보시면 됩니다. 

PTR에서는 몬스터의 레벨이나, 고유 유니크 몬스터의 레벨, 그리고 상자의 레벨을 추가로 조정하지 않았고,
등장하는 몬스터의 종류나 스탯 또한 딱히 조정하지 않고 지역레벨만 덜렁 올려둔 것이기 때문에, 
TC로 인한 드랍테이블은 여전하고, 원래 TC가 높던 지역에서 지역 레벨이 후달려서 안 뜨던 유니크, 세트가 뜬다고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2. 이번 지역 레벨 조정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 떨어질 수 '없는' 아이템들 

이하 표에 붙은 아이템은 TC 자체가 85라서, 지역 레벨은 85로 올랐으나 TC가 후달려서 베이스 아이템 자체가 드랍되지 않아 먹을 수 없는 아이템을 정리한 것입니다. 

요약하면 이 아이템들은 이번에 조정된 일부 지역에서도 못 먹습니다. 
해당 지역은 지역을 설명하면서 따로 표시하겠습니다. 


베이스 아이템세트 아이템유니크 아이템
이름qlvl이름qlvl이름qlvl
TC 87
아콘 스태프85 

망 송의 가르침86
버서커 액스85죽음 가르개78
블러드로드 스컬85어둠의 종자72
카두세우스85그리스월드의 구원44에스트리언의 아이언 워드68
콜로서스 블레이드85불카토스의 신성한 임무50한아비85
콜러서스 거들85  
코로나85그리스월드의 용맹44시대의 왕관86
다이어뎀85마비나의 진실의 눈21그리폰의 눈84
디멘셔널 샤드85 






죽음의 깊이81
드림 스피리트85 
자이언트 쓰레셔85폭풍첨탑78
글로리어스 액스85집행자의 정의83
가디언 크라운85 
하이드라 보우85바람살80
레전드 스파이크85유령불꽃70
뮈르미돈 그리브즈85그림자 춤꾼79
미시컬 소드85불카토스의 부족 수호자50 
오우거 건틀릿85 강철찢개78
세이크리드 아머85불멸왕의 영혼집37티리엘의 권능87
  기사단의 위세82
시저스 수웨이자85나탈랴의 표식22 
썬더 마울85 

두개골 분쇄망치85
 어스쉬프터77
언어스드 원드86죽음의 거미줄74
볼텍스 쉴드85그리스월드의 명예44 
워파이크85 
강철기둥77
윙드 하푼85가고일의 이빨78



3. 각 지역 정보 



겜하면서 안 가본 사람은 지극히 드문 지하통로 2층입니다. 
어차피 액트 밀다가 운 나쁘면 한번씩 들락거리긴 하는데, 드랍 템이고 나발이고 몹 밀도는 높아도 
지역이 너무 좁고 가는길도 복잡해서 굳이 찾아갈 가능성은 낮은 지역이 되겠습니다. 
다만, 몬스터가 쉬운편인데다가 물리내성이 없어서 진짜 사냥할데 없는 물리캐릭들이 한두번 찾아갈 지도?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고정 3
슈퍼 유니크 : 없음 
황금상자 : 1개 

내성 종류 : 화염,  냉기, 번개, 독 내성 


3. 2. 1

바위 무덤 (스토니 툼)   ※ TC 84 지역

2막 루트 골레인 나가자마자 있는 필드인 바위투성이 황무지(로키 황무지)에 있는 던전입니다. 
지역의 모양새는 우월합니다. 각 3방향으로 나뉘어진 길에 방 하나씩 있는걸로 1층, 2층 모양새가 비슷하고,

 
크기에 비해 몬스터의 밀도 역시 좋은 편입니다. 
역시 문제는 TC가 84라는 것이겠네요. 하지만 그래도 뭐 몇몇 템의 드랍률이 개판인거 빼면 좋다고 보면 됩니다.

특히, 화염내성 몬스터가 등장하지 않아 초반 파볼오브류 소서들의 사냥터가 한군데 더 생긴겁니다. 


3. 3. 1

독거미 둥지 (아라크니드 동굴)   ※ TC 84 지역

3막 마을 바로 바깥 필드인 거미 숲의 웨이포인트 바로 옆에 있는 지역입니다. 
접근성으로는 수수고 나발이고 필요없이 웨이타고 5초 뛰어서 입장 가능한 지역입니다. 

지역의 모양새 역시 마름모꼴의 일방통행 루트로 가능한 아주 착한 지역입니다. 
소환네크의 경우에도 해골이나 골렘들이 헤메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냉기 저항 몬스터가 등장하지 않음으로써, 파볼오브류 소서나 극블리 소서가 초반 앵벌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역시...TC가 84라서 일부 아이템이 일반 몬스터에게서 드랍되지 않습니다.



3. 3. 2 

습한 구덩이 (스웜피 피트)  ※ '3층만' TC 84 지역 

약탈자 밀림(프레이어 정글)의 웨이포인트 바로 옆에 있는 지역입니다.
역시 수수고 나발이고 필요없이 웨이타고 뛰면 5초면 입장 가능하지만, 
이곳의 문제는 가는데는 수수가 필요없는데 지역 안에서 텔포 탈일이 꽤 많이 발생합니다. 
지역 맵이 X 같기로 수위권이며, 하필 그 자폭 해골 잼민이가 고정적으로 등장하며, 

몹이 빡세서 극후반 파밍 루트가 하나 추가되었다고 생각하는게 옳습니다. 
파볼 오브나 극블리가 사냥이 가능하긴 한데, 초반에 들를곳은 아니에요.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6~10 
황금상자 : 1개 

내성 종류 : 화염, 번개, 독

 

3. 3. 3 

하수도

트라빈컬 지역에서 입장 가능한 하수도입니다. 
하수도 2층은 원래 87/85 지역이였고, 하수도 1층이 이번에 지역레벨이 85로 올랐습니다. 
원래 버스없이 헤딩하던 사람들은 자주 들르던 곳이라 던전의 모양새는 잘 알것입니다. 
네. 역시 마찬가지로 개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이제 진행도 뺄 때 꼭 들러야 하는곳인데 ㅋㅋㅋㅋ
사실 지형 자체가 뭣같기보다 쓸데없이 넓은데 몹 밀도가 낮은게 문제입니다. 
2.4에서 몹 밀도가 높아졌지만 그래도 지역이 너무 넓어 체감이 잘 안됩니다.

거기다가 이곳 역시 자폭 해골 잼민이가 고정 등장입니다. 안 끼는데가 없쥬?



내성 종류 : 독 내성 다수, 번개 , 마법 , 냉기 


3. 3. 4. 쿠라스트 던전 6종 

뭐 내성 종류만 다르고 엇비슷한 지역이니 한꺼번에 묶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예전에는 람 에센의 책을 주는 지역과 다른 지역 한 군데만이 85 지역 레벨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제는 6개 지역 모두 85 지역레벨을 가지고 있어 한번쯤은 순회해볼 만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각 지역마다 등장하는 몬스터가 다르고, 내성의 종류도 판이하니 자신이 주로 갈 곳을 정하는 편이 좋습니다.
람 에센의 책 퀘스트 클리어에 필요한 지역에서만 슈퍼 유니크 몬스터가 등장합니다.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2~4 / 각 지역당
황금상자 : 1개 

내성 종류 : 화염, 냉기, 번개, 마법(+야수) 

1) 잊힌 성물실, 버려진 교회당 



2) 잊힌 사원, 버려진 성물실, 허물어진 교회당




3. 허물어진 사원




3. 4.

3. 4. 1

부속던전 3종세트 (나락, 아케론의 구덩이, 지옥불 구덩이)

부속던전 3종세트는 모양이 엇비슷하고, 보상도 엇비슷합니다. 

길 자체는 불길의 강 포장도로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의 막바지 부분에 유사 황금상자가 있습니다. 

나락은 혹한의 고산지에서, 아케론의 구덩이는 아리앗 고원에서, 지옥불 구덩이는 얼어붙은 동토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나락에서는 마법 내성 몬스터가, 아케론의 구덩이에서는 번개 내성 몬스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지옥불 구덩이는 모든 내성 몬스터가 등장 할 수 있구요. 

지역의 입구를 찾는것이 다소 난관입니다. 수수나 텔포가 없다면 상당시간을 헤메여야 하며, 
중간중간에 배치된 성벽이나 잡다한 마차 같은것들이 길막을 하기 때문에 더 짜증납니다. 

하지만 그만큼 몹 밀도가 높고 맵이 단순한 데다가, 나락에서 자폭맨이 뜰 뿐이고, 버닝소울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기타 다른 캐릭터들도 텔레포트 확보가 되면 충분히 와 볼 만한 메리트가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난이도가 좀 더 높은 피트 입니다.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2~4 / 각 지역당
황금상자 : 없음. // 황금상자가 아닌, 드랍량이 많은 상자가 1기씩 배치.

내성 종류 : 나락 - 마법 X // 아케론의 구덩이 - 번개 X // 지옥불 구덩이 - 전부 

 
3. 4. 2

부랑자의 동굴 (드리프터 동굴) 

빙하의 길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역시 입구 찾기가 고역인 지역 중 하나입니다.  얼어붙은 동토 갈려고 하면 나오는 지역이죠. 

입장하고 나서의 맵 배치는 마름모꼴 순회루트로 넓은 데다가, 2.4 이후 몹 배치량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무한으로 번개 내성이 전부 다 깨지기 때문에, 라팅소서나 자벨마 같은 경우에는 방문할 가치가 높습니다. 
또한 마법 내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햄딘 역시 마찬가지로 깡패질 가능합니다. 

고정 등장 몬스터 중, 서큐버스 계열이 있기 때문에 밀리 캐릭터나 스탯이 부족한 초반에 잘못 오면 
끔살이 잦을 수 있습니다. 극후반용 파밍장소가 추가된 거라고 보면 되는데, 
역시 길찾기의 난점 때문에 자주 찾지는 않을 것 같네요. 

빙하의 길이 넓은 관계로 어지간해서는 안 올거 같습니다. 그 시간이면 카생을...식이니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6 ~ 8
황금상자 : 없음. 

내성 종류 : 냉기 내성 다수. 화염, 번개, 독

3. 4. 3

얼음 지하실 (아이시 셀라) 

고대인의 길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얼음동굴 2종 세트답게 안 찾을때 나오고 찾을 때 못갑니다.
더욱이 고대인의 길 역시 길이 매우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방문 의향이 굉장히 줄어듭니다. 
지역은 마찬가지로 마름모꼴 순회 루트로 한 바퀴 돌고 나가긴 좋습니다.

이곳 역시 무한으로 번개 내성이 죄다 깨지기 때문에 방문 해볼만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이곳은 자폭 잼민이와 버닝 소울이 동시에 등장 가능한 곳입니다. 

보상으로 슈퍼 유니크 몬스터와 황금상자 1기가 있습니다만, 안가요 안가. 

극후반용 파밍 루트가 추가된 느낌인데, 여긴 진짜 아무도 안올듯. 
심지어 추가 지역 중에 유일하게 물리 내성 몬스터가 등장 가능합니다. 진짜로 안갈듯.

엘리트 + 챔피언 몬스터 : 6 ~ 8
황금상자 : 1개

내성 종류 : 냉기 내성 다수. 번개, 독, 물리



버닝 소울의 원래 몬스터 분류는 윌 오 위스프 계열이지만, 
흔히 말하는 좆닝좆울로 더 알려진 놈이기에 그냥 버닝 소울로 통일했습니다. 

패치 공개되고 몇주만 지나면 무슨 빌드는 어디에서 사냥하는게 더 효율적이라는게 나오지만, 
그래도 아직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어느정도 정리하면서, 
그러면서 초반용 빌드들이 사냥 가능한 쪽을 정리해보자는 느낌이 있어 소서와 햄딘을 좀 많이 언급했네요. 

사실 조정된 지역들이 어떻게 보면 물리 캐릭터들이 사냥하기 좋은 지역입니다. 
하지만 텔포의 부재로 초반부터 근접 물리캐릭터 키우시는 분들은 흔치 않죠. 
텔포 버리고 키울만한 메리트가 있다고 하면 네크나 팔라딘이라는 대체불가급 요원이 있으니....

5막 내성정리는 진짜 마지막에 커찮아서 때려쳤는데, 언젠가 시간이 나면 
고정 등장 몬스터와 함께 게스트 몬스터의 내성도 정리하겠습니다. 

몬스터의 내성정보와 지역별 등장 몬스터의 종류는 디아블로 위키를 참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