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리퍼스톨) vs 긍지(PRIDE)

말이 많던 활마의 용병 셋팅.
패치전에는 아무래도 바알킬을 위한 사신 셋팅이 인기가 있었습니다.
긍지를 선호하는 저 또한 바알킬 때문에 종종 사용하고는 했으니깐요.
또한 텔포로 용병을 이동하여 높은 확률로 디크리를 걸어주는 풀방에서의 사냥 방식 또한 나쁘지 않았습니다.
깡딜을 높여서 멀티로 몹을 쓸어버리는 멀티 사냥 방식 또한 좋았죠. 뭐 둘 중 하나니깐요.

그러나 물리 활마의 데미지가 대폭 상승한 현 시점에서 
두가지 셋팅이 논란 거리가 되는지는 보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D2PLANNER 의 2.4 패치로 계산된 것입니다.

조금 귀찮은 작업이었지만 숫자로 보여드릴께요.
먼저 기본적인 셋팅입니다.

1. 스킬 트리와 참, 그리고 아이템
무기 : 쉐도신뢰 15증뎀작
투구 : 45/45 지속맥
목걸이 : 아트마
장갑 : 안수
벨트 : 관통벨트
링 : 레이븐 그리고 듀얼링
신발 : 선혈기수
참 : 14맥 5장, 3맥 9장

스탯은 95렙 기준 피통에 20 주고 나머지는 올덱스입니다.

셋팅은 공통이며 용병셋팅에 따른 수치 비교 입니다.

2. 사신(리퍼스톨)의 데미지 변화

왼쪽은 기본 DPS 를 표기한 것이고,
오른쪽은 디크리가 걸린 몬스터에게 적용되는 DPS 입니다.
디크리의 여부에 따라 데미지가 확 달라지는게 눈에 보이죠? 확실히 디크리를 통한 DPS 의 상승은 매우 좋습니다.
그럼 긍지를 봅시다.

3. 긍지의 기본 데미지


넵. 확인하셨습니까? 그럼 차이를 확인해 봅시다.

3. 데미지 차이


한 눈에 비교해 봅시다.
각 상황에서의 데미지 차이는 확연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디크리가 걸린 상태에서의 사신 셋팅과 긍지의 비교 입니다.
일단 디크리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신 긍지는 비교대상도 아니기에 디크리 상태와 긍지를 비교합니다.

(멀티샷 위주의 비교)
텔레포트 이후 뒤로 살짝 풀백(거리두기) 이후 멀티샷. 사신.
그리고 긍지마라면 용병을 붙일 필요 없이 그대로 멀티샷. 긍지.

긍지와 사신 디크리의 10초간의 DPS 를 본다면 
긍지는 사신 디크리보다 약 1.42 초의 딜로스가 생깁니다. (디크리가 100% 발동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실제는 33%)
그러니깐 10초간 몬스터를 잡는다고 가정한다면, 적어도 1.42 초 안에 디크리를 발동 시켜야 긍지보다 데미지가 높다는 가정이 나옵니다.
하지만 현실은 아무리 풀방이래도 10초간 일반몬스터를 잡진 않죠.

그럼 5초로 가정해 볼까요?

5초를 기준으로 했을 때엔 약 0.7초 안에 디크리를 발동 시켜야 사신은 긍지보다 나은 DPS 를 갖게 됩니다.
그래도 사신이 좋으시다구요? 네 그건 님의 손은 신컨인것을 인정합니다.

여기까지 보고 일단 고민하시면 됩니다.
난 그래도 디크리를 발동하는게 좋아. 아니면 말뚝딜로 멀티를 한두발 더 꽃겠어.

여기까지는 단지 디크리에 대한 비교였구요.
무언가 하나 빠졌습니다.
네 앰플입니다.


4. 앰플 발동 시의 사신 vs 긍지

왼쪽은 앰플이 발동되었을 때의 사신 DPS , 오른쪽은 동일 상태에서의 긍지 DPS 입니다.

표로 볼까요?

당연한 결과이지만, 전체적인 딜량을 같이 본다면, 앰플이 걸렸을때의 딜량차이는 두배로 증가합니다.


그러니깐, 사신은 디크리와 앰플 둘다 있고, 긍지는 앰플만 있잖아 이게 아니라
사신셋팅에서 터지는 앰플과 긍지셋팅에서 터지는 앰플은 
그 차이가 앰플이 터지기 전보다 더 큰 딜량의 차이를 보입니다.
요약하자면, 순간적인 폭딜량은 긍지셋팅을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이제 용병이 디크리를 걸 시간도 드물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피통이 크고 장기간 저주를 유지하였을 때가 필요한 바알 사냥을 보겠습니다.

5. 수치상으로 보는 바알 사냥시의 비교.
보스를 잡는 방법은 두가지 입니다.
유도화살, 또는 속사(스트레이프)
* 아무래도 속사는 정해진 프레임당 하나의 대상에게 적중할 수 있는 화살이 한정 되어 보임.
보스전의 빗나감, 그리고 유도화살과의 dps 차이로 추정.

피통이 가장 큰 보스인 바알을 사냥할때의 비교입니다. (d2planner 의 계산상 비교)
글이 길어지므로 표로 요약하겠습니다.
1인방 다인방별 해당기술로 바알 사냥시, 용병 딜 제외 강타 제외. 동일셋팅별 시간 비교.

(표에는 용병의 딜과 강타 적용이 빠져 있으므로, 표기된 시간보다 훨씬 빠르게 잡을 수 있으며, 
개인간의 셋팅과 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냉정히 말하자면, 분명 피통이 큰 보스전에서는 사신의 승입니다.
높은 확률로 디크리를 유지할 수 있는 사신셋팅은 보스의 발을 묶고, 꾸준히 높은 딜량을 가능케 하는데
장점이 있습니다. 그 차이는 다인방 바알 사냥에서 점점 장점이 드러납니다.

하지만 확실히 이번 패치로 인해서 그 장점이 많이 퇴색되어서, 기존의 사신셋팅 유저들은 약간 아쉬울 수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솔방에서의 바알은 단축된 사냥시간으로 불편함이 없음)
그러나 다인방에서 혼자 바알을 자주 잡는 분이라면 장기간 저주를 유지할 수 있는 디크리 셋팅이 우위입니다.

5. 결론
긍지의 딜량은 사신보다 높으나,
패치전에는 바알과 요부에서의 긍지 셋팅의 불편함이 있었음. (물리면역 지우기 힘듬, 그리고 바알의 텔레포트)
패치 이후 딜량의 상승으로 인해 바알전에서의 불편함이 다소 해소 됨. (텔레포트는 하지만 빠르게 처리 가능)
그러나 **다인방에서 피통이 큰 보스 상대에서는 저주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사신이 유리함.
** 다인방 바알사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긍지가 우위.

* 솔플 풀방 셋팅 후기 추가
긍지셋팅이 사신셋팅보다 풀방 디아블로 5번씩의 결과에서 확연한 속도의 차이를 보임.
앰플이 터졌을 때의 속도가 확연히 다름이 느껴짐. 5%의 확률을 도식화 하기가 어려운 관계로 수식이 가능해지면 업데이트. 다만 물약의 소모량이 많음 ㅎㅎ...
풀방 바알도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바알의 텔레포트 및 소환물의 특이점 때문에, 다인방 바알전에서는 편의성이 높은 사신이 더 유리해 보임.

일반적인 용병셋팅
*사신(베르작), 기욤(참작), 배신
*긍지, 기욤(참작), 명굴

*패치 이후 긍지 사용시, 앰플이 터졌을 때 솔방에서 보스(디아, 바알)전은 순삭이라고 봐도 무방.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