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 시점에서 바라보는 징벌기사

 

◆ 용의 영혼 10인 울트락시온(H) 클래스별 DPS 순위


1. 마법사(화염) - 62,646
2. 흑마법사(악마) - 61,147
3. 도적(전투) - 58,387
4. 전사(무기) - 57,270
5. 성기사(징벌) - 55,568
6. 사냥꾼(생존) - 55,273
7. 사제(암흑) - 54,354
8. 주술사(정기) - 51,999
9. 드루이드(조화) - 51,837
10. 죽음의기사(부정) - 51,590

 

위에서 나타낸 자료는 현재 WMO에 등록된 용의 영혼 10인 울트락시온(H) 각 클래스(특성)별 1-10위까지의 평균 DPS를

순위대로 나열한 것입니다. (딜 특성이 2개 이상인 클래스는 편의상 제일 높은 기대값을 나타낸 특성으로 나타냈습니다.)

 

일명 시즈딜(패치워크형)의 표본인 울트락시온 하드에서 징벌기사의 평균 DPS는 보다시피 5위에 속해 있습니다.

100% 신용할수는 없는 자료지만, 그래도 징벌기사의 딜링 능력이 평균수준이라는 점이 고무적 입니다.

 

 

2. 징벌기사 딜 사이클1

 

앞서 2편에서도 잠깐 언급한바가 있었지만, 4.3 패치부터는 심판으로도 신성한힘이 수급(Tier13 2셋 효과)되기 때문에

신성한힘을 탄력적으로 운용이 가능해졌습니다.

 

※ 아래의 설명은 Tier13 2셋 효과(심판 사용시 신성한힘 1개 획득)를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심문(사용시 신성공격력 30% 만큼 증가)은 필히 끊기지 않도록 유지해준다.
2. 신성한힘을 획득하는 기술(성전사의 일격, 심판)을 최우선적으로 사용해준다.
- 두 기술이 모두 사용이 가능할때는 성전사의 일격 > 심판순으로 사용해준다.
3. 성전사의 일격심판이 쿨일때는 신성한 목적을 유발하는 스킬을 사용해준다.

* 신성한 목적이란?

심문/기사단의 선고/심판/퇴마술/신의 격노/천상의 폭풍/천벌의 망치 사용시 15% 의 확률로 신성한힘을 필요로하는 기술을 신성한힘을 소모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즉, 공짜로 신성한힘 3개의 기술 사용가능)
흔히, 신성한 목적을 유발하는 스킬을 필러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 필러의 정의

필러란, 성전사의 일격과 다음 성전사의 일격 사이에 사용하는 기술(신성한 목적을 유발하는)을 뜻 합니다.
심문이 유지중이라는 가정하에, 성전사의 일격1 - 심판 - 필러 - 성전사의 일격2 이 기본적인 딜 사이클 입니다.

 

 

3. 징벌기사 딜 사이클2

 

※ 심문이 유지중이라는 전제조건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각 스킬에 대한 우선순위

성전사의 일격 > 심판 > 퇴마술 > 천벌의 망치 > 신의 격노 > 신성화

같은 신성한힘을 생성하는 기술임에도 심판보다 성전사의 일격이 우선순위가 높은 이유는,

1. 심판보다 쿨다운이 짧다. (제일 궁극적)
2. 특화징기에 장점인 빛의손이 발동된다.
3. 데미지 기대값이 더 높다.

단, 예외는 있습니다. 최초 전투를 시작할때는 심판을 먼저 사용해줍니다. (심판 사용시 이속증가 효과 때문)
또는 이동을 필요로 할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전투시작시 비교적 이동거리가 가까운 울트락시온이나 하가라같은 네임드에서는 성전사의 일격을 먼저
사용하고 시작하기도 합니다. (성전사의 일격을 먼저 사용하면 신성한힘 3개를 더욱 빨리 수급할수 있기 때문)


* 그럼 기사단의 선고는 언제 사용하느냐?

신성한힘이 3개 생성되면 바로 사용해줍니다. 앞서 설명한대로 신성한힘 3개의 기사단의 선고
신성한힘 대비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때문에 기사단의 선고는 꼭 신성한힘이 3개일때만 사용합니다.

 

 

4. 징벌기사 딜 사이클3

 

징벌기사는 신성한 목적, 전쟁의 기술이라는 두가지의 발동형 버프가 있습니다.

두 발동형 버프의 발동량에 따라서 징벌기사의 전체적인 DPS가 많이 좌지우지 되는만큼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플레이어가 조절하지 못하는 확률적인 부분이라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 [특성: 전쟁의 기술] 이란?

자동공격(평타)시 7%/14%/20% 의 확률로 다음 사용하는 퇴마술은 즉시시전 되고 마나를 소비하지 않으며,
100% 의 추가피해를 입힙니다. (그래서 일명 꽁퇴마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00% 의 추가피해 부분을 첨언하자면, 기본 데미지의 100% 입니다.
예) 퇴마술의 기본 데미지가 100라고 가정할때, 전쟁의 기술 발동으로 사용한 퇴마술은 200의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 만약 신성한 목적전쟁의 기술이 같이 발동되었다면?

 

신성한 목적 > 전쟁의 기술순 입니다.

 

1. 신성한힘 3개의 기사단의 선고퇴마술보다 데미지 기대값이 높다.

2. 퇴마술신성한 목적을 유발하기 때문에 신성한 목적을 먼저 사용하고 전쟁의 기술신성한 목적을 유도한다.


* 여기서 전하는 깨알같은 팁


대게 전투시작을 심판으로 시작합니다. 이유는 심판 사용시 이속증가효과 때문입니다.
그리고 진행자의 카운트에 맞추어 골렘피 물약을 먹습니다. 저는 아래의 매크로를 이용해 이렇게 전투를 시작합니다.

/사용 골렘피 물약
/시전 퇴마술

그리고는 심판을 사용합니다. 위의 매크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1. 퇴마술을 통해 불신임 중첩을 1회 늘리기 위함

2. 퇴마술을 통해 신성한 목적 유도

 

위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론상 신성한 목적발동률이 22.5%가 됩니다. (심판 15% * 퇴마술 15%)

위 방법을 통해 혹시라도 신성한 목적이 발동되 심문을 돌리고 전투를 시작하면, 일정부분 DPS에 영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 방법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5. 징벌기사 딜링의 핵심

 

모든 딜러가 그렇겠지만, 징벌기사는 유독 쿨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편에 속합니다. 때문에 쿨기를 사용했을때와

사용하지 않았을때의 DPS 차이가 심합니다. 일명 징싸이언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이러한 쿨기를 바탕으로 순간화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재적소에 쿨기를 사용하는것이 징벌기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징벌기사는 고대왕의 수호자, 열광, 응징의 격노라는 3가지의 쿨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대왕의 수호자 : 성기사 공통 스킬(특성마다 효과가 다릅니다.)
30초 동안 자신을 보호하는 고대왕의 수호자를 소환합니다.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성기사와 수호자의 공격이 고대의 힘과 융합하여 효과 하나당 힘이 1% 만큼 증가합니다. 30초가 지나거나, 수호자가 죽으면 고대의 분노를 내뿜어 516의 피해와 고대의 힘 효과 하나당 516의 추가 피해를 10미터 반경 내 모든 대상에게 나누어 입힙니다.
(고대의 힘은 최대 20중첩, 5분쿨)


열광 : 징벌특성중 '열광' 을 투자해야만 사용 가능
성전사의 일격 사용 시 다음 20초 동안 공격마다 신성한 힘 3개를 얻습니다. 사용하려면 신성한 힘 효과 3개가 필요하지만, 효과가 소모되지는 않습니다.
(신성한힘 3개일때 사용 가능, 스킬이 활성화되면 20초 동안 성전사의 일격 1회당 신성함힘 3개 생성, 2분쿨)

응징의 격노 : 성기사 공통 스킬
20초 동안 모든 공격력과 치유량이 20% 만큼 증가합니다. (사용시 천벌의 망치가 활성화되며, 2분쿨)


설명해놓은대로 고대왕의 수호자30초 지속에 5분쿨, 열광응징의 격노20초 지속에 2분쿨 입니다.
따라서 징벌기사가 가장 강력한 타이밍은 위 세가지의 스킬을 모두 사용했을때 입니다.


* 어느때 쿨기를 사용해야 좋을까?

고대왕의 수호자는 비교적 긴 5분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때문에 레이드 기준 매 전투 1회성일수밖에 없습니다. (전투시간이 5분을 넘어간다면 2회도 사용 가능)
따라서 블러드 타임때 사용을 권장합니다.

열광 응징의 격노는 20초 지속에 재사용 대기시간 또한 2분으로 같습니다. 매 전투 2,3회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왕이면 같이 사용해주는게 좋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같이 사용해주는 이유는 Tier13 4셋 효과(열광이 활성화되면 기술로 입히는 피해가 18% 만큼 증가) 때문인데,
굳이 Tier13 4셋 효과가 아니더라도 같이 사용을 권장합니다.

가장 강력하다는 고대왕의 수호자/열광/응징의 격노를 모두 사용해야 될 때는 고대왕의 수호자 사용 10초 후,
열광응징의 격노를 사용해주는게 가장 이상적입니다. (그래야 고대왕의 수호자 중첩 효과를 보기 때문)

하지만 위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내용일뿐, 쿨기의 사용은 각 전투의 상황이나 특성을 고려해
사용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징벌기사 PvE 가이드 1편 - 세팅 보러가기 <- 클릭

 

징벌기사 PvE 가이드 2편 - 기초 보러가기 <- 클릭